높이 75㎝. 1972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고려시대에 유행한 청석탑(靑石塔) 또는 오석탑(烏石塔)의 하나로서, 기단부(基壇部)는 화강암으로 구성하였으나 탑신부(塔身部)는 탑신과 옥개석 모두 점판암으로 되어 있다.
보통 와탑(瓦塔)으로 불리고 있으며 탑의 양식은 해인사 원당암(願堂庵)다층석탑과 같은 특수형이다. 탑은 현재 기단의 상하 각 1석과 옥개석 7, 탑신석 1만 남기고 노반(露盤)을 대신하여 풍화마멸한 석질이 다른 자연석이 놓여 있다.
기단은 불단과 유사한 형태였다고 생각되며 하석(下石)은 중판(重瓣)의 연화문, 상석(上石)은 소문연판(素文蓮瓣)을 조각한 것인데 현재 상석이 뒤집혀서 놓여 있다. 옥개석의 양식은 7개가 동일한데 받침의 수는 각각 3단이다. 지붕의 형태는 경쾌할 만큼 얇게 만들어져 있고 그 물매는 비교적 심한 곡선을 이루고 있다.
사리가 있을 곳에는 그러한 것을 상징할 만한 조각은 없고 다만 한 줄의 선(線)으로 나타나 있다. 탑신은 7층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이나 그 위의 옥개석과는 맞지 않는다. 탑신에는 기둥을 나타내는 음각선이 있으나 그 줄이 각모에서 약 8분(八分) 정도 안으로부터 3개씩 그어져 있다.
이 탑의 층수는 원래 9층으로 추정되며 연대는 탑신과 주형(柱形)들로 보아 고려시대의 중기 이전의 것으로 추정된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본래 이 석탑은 영취산(靈鷲山) 위 보림사(寶林寺) 소속 암자에 있던 것을 현재는 이곳 남쪽 산록의 법화암으로 옮겨 놓은 것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