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래 장관청 ( )

목차
관련 정보
부산 장관청 정면
부산 장관청 정면
건축
유적
국가유산
부산광역시 동래구에 있는 조선후기 동래부사 정철이 건립한 관청.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동래 장관청(東萊 將官廳)
분류
유적건조물/정치국방/궁궐·관아/관아
지정기관
부산광역시
종목
부산광역시 시도유형문화유산(1972년 06월 26일 지정)
소재지
부산 동래구 명륜로94번길 36-6 (수안동)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부산광역시 동래구에 있는 조선후기 동래부사 정철이 건립한 관청.
내용

정면 7칸, 측면 1칸의 팔작지붕 민도리집. 1972년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동래부는 왜와 대치하는 국방상의 요충지로서 1655년(효종 6) 동래 독진(獨鎭)의 설치로 그 뒤 양산군 및 기장현(機張縣) 소속의 군병(軍兵)까지도 통합, 지휘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같이, 군사상의 지위가 강화됨에 따라 군관의 기관으로 설치된 것 같다. 장관청의 건물은 1669년(현종 10) 동래부사 정철(鄭哲)이 창건하였으며, 그 뒤 1675년(숙종 1) 부사 어진익(魚震翼)이 중창하였다.

또, 1680년 부사 조세환(趙世煥)이 중창하여 사용하다가 1706년 동래부사 황일하(黃一夏)가 지금의 자리로 이건하였다. 이 고장에 남아 있는 조선 후기의 관아건물로 당시의 건축양식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가치를 가지고 있으나, 형태는 수차에 걸친 구조의 개조로 무리한 맞춤, 또는 무리한 연결로 원상이 많이 변형된 것 같다. 건물양식은 ㄱ자집으로 공포는 무익공으로 되어 있다. 1980년 기와공사와 더불어 행랑채의 주초석을 교체하였다.

참고문헌

『문화유적총람』 중(문화재관리국, 1977)
『부산의 문화재』(부산직할시, 1982)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