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안향교 ()

목차
관련 정보
안동 예안향교 전경
안동 예안향교 전경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에 있는 조선전기에 창건된 향교. 교육시설.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예안향교(禮安鄕校)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향교
지정기관
경상북도
종목
경상북도 시도유형문화유산(1973년 08월 31일 지정)
소재지
경북 안동시 도산면 퇴계로 2020-13 (서부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에 있는 조선전기에 창건된 향교. 교육시설.
내용

1415년(태종 15)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1490년에 중수하고 1569년에 현감 손영제(孫英濟)가 중수하였으며, 1625년에 중수하고 1745년에 현감 김광수(金光遂)가 중수하였다.

1841년에 보수하고 1900년에 현감 남정필(南廷弼)이 중수하였으며, 1954년에 교장 이탁(李鐸)이 중수하였다. 1981년에 전교(典校) 이윤항(李潤恒)이 도와 군에서 지원을 받아 명륜당 · 동재(東齋) · 서재(西齋) · 전사청(典祀廳) · 주사(厨舍) · 원장(垣墻) 등을 보수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 · 내삼문(內三門) · 전사청 · 명륜당 · 동재 · 서재 · 주사 · 제기고(祭器庫)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4현(宋朝四賢), 우리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를 봉안하고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 · 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 1명이 정원 3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 · 가을에 석전을 봉행하며, 초하루 · 보름에 분향하고 있다.

이 향교는 1973년 경상북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으며, 향교의 운영은 전교 1명과 장의(掌議) 수명이 담당하고 있다.

참고문헌

『태학지(太學志)』
『안동향교지(安東鄕校誌)』(안동군, 1983)
『문화유적총람(文化遺蹟總覽)』(문화재관리국, 197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