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십삼불탱화 ()

목차
관련 정보
순천 송광사 오십삼불탱 중 칠불탱
순천 송광사 오십삼불탱 중 칠불탱
회화
개념
시공간을 초월한 모든 곳에 부처가 존재한다는 다불사상에 근거하여 53명의 부처를 묘사한 불화. 불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시공간을 초월한 모든 곳에 부처가 존재한다는 다불사상에 근거하여 53명의 부처를 묘사한 불화. 불화.
내용

사찰의 불조전(佛祖殿) 등에 봉안된다. 53불에 대한 신앙은 『관약왕약상이보살경(觀藥王藥上二菩薩經)』에 근거를 두고 있다.

53불의 이름을 부르면 나는 곳마다 시방의 여러 부처님을 만날 수 있고, 지극한 마음으로 예배하면 사중(四重 : 네가지 禁戒를 범한 죄) 오역죄(五逆罪 : 무간 지옥에 떨어진다는 다섯가지 악행)가 없어지고 깨끗이 된다는 데서 널리 신봉되었다.

이에 따라 53불의 탱화가 조성되게 된 것이다. 대표적인 탱화로는 금강산 유점사의 것과 1702년(숙종 28)에 조성한 송광사(松廣寺)의 탱화가 유명하다.

이들 탱화는 법신(法身)·보신(報身)·화신(化身)의 삼신불(三身佛)과 사방여래(四方如來)의 칠불탱(七佛幀)을 중심으로 하고, 53불은 6폭으로 나누어 그려서 칠불탱 좌우에 봉안하고 있다. 특히, 송광사의 탱화에는 부처의 명호가 각각 쓰여 있어 53불의 신앙을 파악하는 데 좋은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한국(韓國)의 미(美) 16 -조선불화(朝鮮佛畵)-』(문명대 감수, 중앙일보사, 1984)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홍윤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