옹진참김 (참김)

목차
식물
생물
북한의 행정구역상 황해남도 옹진군 남해노동자구에서 생산되는 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북한의 행정구역상 황해남도 옹진군 남해노동자구에서 생산되는 김.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134호. 남해노동자구의 앞바다 주변에는 파도·용호도·신도가 있다. 이 섬들의 주변이 바로 참김의 분포지로 이름난 곳이다.

참김은 포자로 번식하고 바다에 있는 바위와 돌에 붙어서 자란다. 이런 특성을 이용하여 떼를 설치하고 씨앗을 붙여 생산한다. 말린 참김에는 탄수화물 7∼18%, 단백질 25∼30%, 비타민A·B1·B2·C 등과 여러 가지 무기염류들이 들어 있다.

옹진참김은 질이 좋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 원종 보존이라는 관점에서 적극 보호하고 있다.

참고문헌

국가지식포털 북한 지역 정보넷(www.cybernk.net/)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