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도 예작도 감탕나무 ( 나무)

목차
관련 정보
완도 예작도 감탕나무
완도 예작도 감탕나무
식물
생물
국가유산
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면 예송리에 있는 감탕나무.
국가자연유산
지정 명칭
완도 예작도 감탕나무(莞島 예작도 감탕나무)
분류
자연유산/천연기념물/문화역사기념물/민속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천연기념물(1983년 08월 23일 지정)
소재지
전남 완도군 보길면 예송리 산100-23 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면 예송리에 있는 감탕나무.
내용

1983년 8월 19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나무의 나이는 300년으로 추정되며, 높이 15m, 가슴높이둘레 2.7m에 달하였다. 가지는 지상 3m 정도에서 갈라지기 시작하여 동서로 24m, 남북으로 26m 정도 퍼져 있었다.

200여 년 전 이 마을에 처음 정착한 홍씨와 김씨가 이 나무 앞에서 가정의 평화와 풍어를 빌면서 제를 드리기 시작하였고, 그 뒤 마을이 형성되면서 동제로 발전하였다고 한다. 음력 정초에 감탕나무와 커다란 소나무 앞에서 동제를 지내는데, 마을에서는 소나무를 할아버지당, 감탕나무를 할머니당이라고 부르고 있다. 2012년 태풍 볼라벤 피해 이후 급격한 수세 약화로 고사되어 2019년 7월 5일 천연기념물 지정이 해제되었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천연기념물편-』(문화재관리국, 1993)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