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불 ()

불교
의례·행사
승려들이 경을 읽으면서 불상 주위를 돌며 행하는 불교의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승려들이 경을 읽으면서 불상 주위를 돌며 행하는 불교의식.
내용

요당(遶堂)·행도(行道)라고도 한다. 도는 방법은 오른쪽으로부터 불상 뒤를 돌아 다시 앞으로 도는 방법을 취한다. 오른쪽으로 도는 방법은 고대 인도에서 귀인(貴人)의 주위를 돌 때 오른쪽으로 돌았던 통례를 따른 것이다.

불교의 교리상에서 보면, 정진(精進)할 때 도는 방법은 체용(體用)을 표하는 것인데, 아침에 돌 때에는 종체기용(從體起用)이라 하여 체에 해당하는 왼쪽으로부터 돌고 저녁때에는 섭용기체(攝用起體)라 하여 용에 해당하는 오른쪽으로부터 돌게 되어 있다.

도는 횟수는 일정하지 않으나 세 번을 돌면 삼업(三業)을 표하고, 일곱 번을 돌면 칠각지(七覺支)를 표한다. 돌 때에는 반드시 머리를 숙이고 땅을 볼 것, 벌레를 죽이지 말 것, 땅에 침을 뱉지 말 것, 다른 사람과 말하지 말 것 등의 다섯 가지 법을 지켜야 한다.

이와 같이 하여 불상 주변을 돌면 현생 또는 다음 세상에서 오복(五福)을 얻는다고 하여, 특히 신도들 사이에서 요불이 크게 성행하였다. 탑(塔)의 주변을 합장하고 경을 외우면서 도는 탑돌이도 요불의 한 형태이며, 법회가 끝난 다음 십바라밀정진도(十波羅蜜精進圖)에 따라 도는 것도 요불의 한 형태이다.

의의와 평가

오늘날에는 요불 대신 ‘정진 돈다’는 말을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 의식은 탑돌이 등의 민속놀이를 전개, 발전시켰고, 십바라밀정진 도는 법은 농악놀이의 집법에도 영향을 미쳤다. 요불의 한 형태이다. 현재 합천 해인사에서는 화엄일승법계도를 돌며 법성게를 염불하는 요잡(繞匝)의식을 이어오고 있는데, 이것도 요불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참고문헌

『석문의범(釋門儀範)』
『불교(佛敎)와 민속(民俗)』(홍윤식, 동국대학교출판부, 1980)
집필자
홍윤식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