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용계리 은행나무 ( 나무)

목차
관련 정보
안동 용계리 은행나무
안동 용계리 은행나무
식물
생물
국가유산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용계리에 있는 은행나무.
국가자연유산
지정 명칭
안동 용계리 은행나무(安東 龍溪里 銀杏나무)
분류
자연유산/천연기념물/문화역사기념물/기념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천연기념물(1966년 01월 13일 지정)
소재지
경북 안동시 길안면 용계리 744외 8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용계리에 있는 은행나무.
내용

1966년 1월 13일에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수령은 700년으로 추정되며, 높이 37m, 가슴높이둘레 14.5m에 달한다.

이 나무는 가슴높이둘레가 우리나라에서 가장 큰 나무이며, 가지가 사방으로 퍼져 있는 암나무이다. 냇가를 통한 길가에서 훌륭한 정자나무 구실을 하고 있다.

선조 때 훈련대장이었던 탁순창(卓順昌)이 이곳에 낙향한 다음 이 나무를 보호하기 위해 뜻있는 사람들과 행계(杏契)를 조직하여 매년 7월에 이 나무 밑에 모여서 하루를 즐겁게 보냈다고 한다. 탁씨의 후손들은 아직도 이 나무를 관리하고 있으며, 매년 한 번씩 간단한 제를 드린다고 한다.

오랜 세월에 걸쳐서 밑부분의 속이 썩고, 윗부분에서도 썩은 가지를 통하여 빗물이 들어가 나무가 상하기 시작하였으므로 1982년에 외과수술을 실시하기도 하였다. 또한 임하(臨下)댐 건설로 이 나무의 9m 정도가 수몰될 처지가 되자 1990년부터 2년 9개월간에 걸려 높이 15m에 이르는 가산(假山)을 조성한 후 올려 심어 보호하고 있다.

참고문헌

『문화재대관-천연기념물편-』(문화재관리국, 1993)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