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도 ()

목차
회화
작품
조선 중기의 화가 김식(金植)이 그렸다고 전하는 동물화.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중기의 화가 김식(金植)이 그렸다고 전하는 동물화.
내용

종이바탕에 담채. 세로 98.5㎝, 가로 57.6㎝. 1977년 국립중앙박물관이 주최한 ‘미공개회화특별전’에서 처음으로 소개된 이 「우도」는 관서(款署)나 도인(圖印) 등이 없어 전칭되는 형편이지만, 화격이나 화풍으로 보아 김식의 진필로 판단된다.

나무 밑에 서 있는 어미소와 새끼소를 다루었다. 이 그림에 등장하는 소는 선종화(禪宗畫)의 「십우도(十牛圖)」와 밀접한 관련을 지닌 중국 강남지방의 물소를 소재로 삼았지만 구도나 필치 등의 표현방식은 한국적인 특색으로 넘쳐 있다.

선염(渲染)의 음영으로만 간결하게 묘사한 퉁퉁하고 매끈한 몸매라든지 하얀 테두리가 남겨진 눈매, 그리고 뿔과 귓등과 꼬리털, 발굽 등 신체 각 부분의 끝을 농묵(濃墨)으로 악센트를 주어 소의 특징과 생동감을 살린 묘사법이 그 특징을 이룬다.

이러한 화풍은 그의 증조부 김시(金禔)의 우화법(牛畫法)에 토대를 두고 형성된 것으로, 그에 비하여 중묵(中墨)의 선염으로 처리된 음영부분이 더욱 강조되어 무릎 아래는 마치 검은 스타킹을 신고 있는듯한 느낌을 자아내는 등 양식화의 경향을 현저히 드러내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소의 모습은 흑백대비를 특징으로 하는 절파풍(浙派風)의 간일한 배경산수와 한층 더 어우러져 우리나라 특유의 서정세계를 잘 나타내고 있다. 이 「우도」는 그의 다른 소그림들뿐만 아니라 이 분야의 대표적 작품으로 손꼽히고 있으며, 조선 중기 한국적 동물화풍의 특색을 가장 잘 보여주고 있는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회화사(韓國繪畵史)』(안휘준, 일지사, 1980)
「한국(韓國)의 영모화(翎毛畵)」(홍선표, 『국보 10 -회화-』, 예경산업사, 1984)
「김식(金埴)의 「우도(牛圖)」(맹인재, 『고고미술』, 1961.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