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종자 ()

목차
관련 정보
맹자대문
맹자대문
출판
개념
1692년 원종의 글씨를 자본(字本)으로 하여 주조한 금속활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1692년 원종의 글씨를 자본(字本)으로 하여 주조한 금속활자.
내용

원종은 인조의 아버지이며, 1627년(인조 5) 왕으로 추존되었다. 이 활자의 주성(鑄成)에 관한 사실은 숙종의 어제어필(御製御筆)인 <원종대왕어서맹자언해발 元宗大王御書孟子諺解跋>에 나타나 있다.

원종이 직접 베껴 쓴 ≪맹자대문 孟子大文≫과 ≪맹자정음 孟子正音≫을 정교하게 모사(摹寫)하여 자본으로 삼고, 부족한 글자는 숙종 자신이 보사(補寫)하여 만들었다. 그리고 서문은 숙종의 글씨를 자본으로 한 것이다.

이 활자의 수량에 대하여서는 ≪판당고 板堂考≫와 ≪수향편 袖香編≫에 원종어필맹자진서자(元宗御筆孟子眞書字) 5,394자 또는 5,594자, 언서자(諺書字) 4,605자, 숙종어필서문대자 435자로 되어 있다.

활자의 크기는 한자(漢字)가 1.6×1.6㎝, 한글이 1.1×1.1㎝이며, 활자체는 아름다운 필서체(筆書體)이다. 원종자는 주자소(鑄字所)에 간직되어오다가 1857년(철종 8) 화재 때 소실되었는데, 그 인본(印本)으로는 ≪맹자언해 孟子諺解≫와 ≪맹자대문≫이 전하고 있다.

참고문헌

『판당고(板堂考)』
『서고장서록(西庫藏書錄)』
『수향편(袖香編)』(정원용)
『한국전적인쇄사(典籍印刷史)』(천혜봉, 범우사, 1990)
「조선후기활자본의 형태서지학적연구」 상(백린, 『한국사연구』 3, 1969)
『조선조활자고-대형활자-』(윤병태, 연세대학교 출판부, 1976)
『조선후기의 활자와 책』(윤병태, 범우사, 1992)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