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1.90m. 1972년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2층기단 위에 세워졌던 것으로 지대석(地臺石)과 하층기단을 구성하는 저석(底石)과 중석(中石)은 없어졌고, 하대갑석 위에 상층기단과 3층탑신부만 남아 있다. 하대갑석은 2매의 판석(板石)으로 되어 있으며, 상면에는 상대중석굄이 있다.
상대중석은 크기가 다른 2개의 돌로 구성되었는데, 소형의 석재는 다른 탑의 부재를 개조하여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 소형의 1석에는 탱주형(撑柱形)을 나타냈으나 우주형(隅柱形)은 보이지 않고, 대형의 1석에는 우주형만 표현되고 탱주형은 없다. 상대갑석은 1매의 판석으로 되었는데 한 모서리가 파손되어 있으며, 상면에 옥신굄이 있다.
옥신석은 우주형이 조출(彫出)되었으며, 각 1석으로 되어 있다. 옥개석의 하면에는 3단의 층급받침이 있다. 이 탑도 동편의 탑과 같이 옥개석의 전각(轉角)과 우동(隅棟)이 많이 파손된 것으로 보아 도괴된 것을 재건한 것 같다. 2층과 3층의 옥신석은 후세에 보완한 것으로 조립시 위치가 약간 어긋나 있으나, 전체적으로는 아담한 석탑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