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영낭자전 ()

고전산문
작품
작자 미상의 고전 소설.
이칭
이칭
최호양문록, 월영전, 호씨행록전
작품/문학
창작 연도
19세기 후반
간행 연도
1916년(활자본 월영낭자전)
내용 요약

「월영낭자전」은 작자 미상의 고전 소설이다. 중국 송나라를 배경으로 어려서 정혼한 천정배필인 호월영과 최희성이 다양한 장애를 극복하고 혼인하는 내용과 이후 월영이 희성의 또 다른 아내인 정씨로 인한 고난을 극복하고 마침내 행복한 가정을 이룬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가정 소설이다.

정의
작자 미상의 고전 소설.
서지 사항 및 이본

1책의 국문 필사본 · 활자본이다. 한국학중앙연구원 도서관에 필사본 「월령전」과 「호씨행록전」이 있다. 활자본 「월영낭자전」은 1916년 한성서관 및 1925년 회동서간에서 발행되었다. 필사본과 활자본은 결말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는데, 필사본은 주인공이 화목해지는 것으로 끝나지만 활자본에서는 남녀 주인공이 선관, 선녀의 인도로 승천한다.

한편, 1874년에서 1940년까지 필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최호양문록」은 최씨 가문의 최희성과 호씨 가문의 호월영의 혼사 장애를 다룬 가정 소설인데, 남녀 주인공의 이름과 작품의 내용을 통해 본 작품과 주1 관계에 있음이 확인되었다. 활자본 「월영낭자전」은 이 작품의 주9으로 밝혀졌다.

내용

중국 송나라 때 소주 땅에 사는 이부시랑 최현은 늦게 아들 희성을 얻고, 친구 호원의 딸인 월영과 정혼시킨다. 호원이 간신의 주2로 죽자 부인도 자결한다. 소주자사 위현이 월영을 주3로 맞으려 하자, 월영은 핍박을 피해 자살한 것으로 위장하고 남장한 채 피신하여 절강에 사는 경 어사의 부인을 만나 양녀가 된다.

이후, 월영이 죽은 줄 안 희성은 과거에 장원한 후 민 상서의 딸과 혼인을 하지만 금슬이 좋지 않다. 희성은 어느 날 졸다가 천상에 올라 상제로부터 유진성인 희성과 옥진성인 월영이 연분이 있다는 말을 듣고 깨어난다. 그리고 그의 청삼에 홍삼 자락이 매어져 있음을 발견한다. 월영 역시 선녀의 인도로 천상에 가서 유진성을 만나고 자기 홍삼에 매어진 청삼 자락을 발견한다. 희성은 숙부의 문병 길에 절강에 들러 경 어사 집에 묵게 되었는데, 뜻밖에 월영이 옥진성이며 그와 정혼한 사이임을 알게 된다. 한편, 월영은 최현의 부름으로 경성으로 오는 길에 선녀를 만나 전생의 죄로 인해 아직 주4이 남았다는 이야기를 듣게 된다.

희성은 주5 정한의 압력으로 그의 사위가 되는데, 부인 정씨는 교만 방자한 인물로 월영을 시기한다. 월영은 정씨의 모함으로 누명을 쓰고 옥에 갇히는데, 옥중에서 쌍둥이를 낳는다. 희성은 발해 순행을 하고 오던 길에 호 부인(월영)과 아이들이 울고 있는 꿈을 꾼다. 정 국구의 주7로 월영이 처형 당하려 할 때, 천상에서 선관들이 내려와 월영이 옥진성임을 알린다. 정씨는 자결하고 나머지 가족들은 화목하게 지낸다.

의의와 평가

「월영낭자전」은 남녀의 만남이 전생에서 예정된 것이라는 설정 아래, 주인공 남녀의 주8 과정을 그린 작품이다. 이때 나타나는 남녀 주인공의 현실적 해결 능력의 결핍은 이러한 유형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공통적 특징이다. 전반부는 여주인공이 주10과 혼인하기까지 많은 장애를 겪는 혼사 장애담이 주를 이루며, 후반부는 아내들 간의 갈등이 주요하게 전개된다.

또한 이 작품은 관념적인 선악관을 가진 대표적인 작품 중 하나이다. 부부 관계를 애정의 관점이 아니라 철저한 인륜의 관점에서 존중되어야 하는 숙명적인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작품에 나타난 월영의 수난은 전생에서 지은 죄로 인한 필연적인 것으로 그려지고 있으나 현실에서 월영은 천상계의 후원을 받아 결국 행복한 삶을 쟁취한다. 반면, 현실에서 세력이 강하고 재산이 넉넉하던 정씨는 결국 스스로 목숨을 끊다. 이러한 결말은 이 작품이 월영을 절대 선으로 지지함으로써 도덕을 세우려 했음을 보여준다.

참고문헌

논문

김재웅, 「<최호양문록>의 구조적 특징과 가정소설적 위상」(『한국학』 33,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박순임, 「고전소설에 나타난 처첩관계 갈등」(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논문, 1990)
주석
주1

문학 작품 따위에서 기본적인 내용은 같으면서도 부분적으로 차이가 있는 책. 우리말샘

주2

꾀를 써서 남을 해침. 우리말샘

주3

아내를 여의었거나 아내와 이혼한 사람이 다시 장가가서 아내를 맞이함. 우리말샘

주4

액을 당할 운수. 우리말샘

주5

임금의 장인. 우리말샘

주7

요리조리 헤아려 보고 생각해 낸 꾀. 우리말샘

주8

헤어지고 만남. 우리말샘

주9

작품이나 원고 따위를 고쳐 다시 지음. 또는 그렇게 한 작품. 우리말샘

주10

하늘에서 미리 정하여 준 배필이라는 뜻으로, 나무랄 데 없이 신통히 꼭 알맞은 한 쌍의 부부를 이르는 말.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