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호양문록

목차
관련 정보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
이칭
이칭
월영낭자전
내용 요약

「최호양문록」은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이다. 이 작품의 중심 가문은 제목에 드러나듯 최씨와 호씨이다. 두 가문의 결연과 자손의 번창을 긴 호흡으로 이야기하는 양문록을 표방했으나, 분량은 그다지 길지 않다. 다양한 이본이 존재하고 구활자본으로 간행된 점으로 보아 이 작품은 조선시대에 큰 인기를 끌었다고 볼 수 있다. 필사자의 취향에 따라 군담이 축소되고, 혼사 관련 이야기나 애정 관련 이야기가 확장되는 등 이본의 내용상 분화가 나타난다.

목차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 소설.
이본

1책의 국문 필사본이다. 작품의 머리에 ‘최호양문녹 권지단’으로 적혀 있는 것으로 보아 1권 분량의 작품인 것을 알 수 있다. 18면까지 작품이 계속되다가 중도에 그치고 「유씨삼대록(劉氏三代錄)」을 필사한 것이 연결되어 있다.

이본으로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 「최호양문록」 1책이 있으며, 이 책의 필사 연대는 1874년이다. 또다른 이본으로 주2 「월영낭자전(月英娘子傳)」있다. 현재까지 보고된 이본은 22종에 이른다. 이본 수량으로 볼 때, 조선시대 상당히 인기를 끌었던 작품으로 보인다.

내용

최씨와 호씨 양 가문의 남녀 주인공이 인연을 맺고 조정을 무대로 음모와 복수를 벌이는 가문소설의 한 작품이다.

송나라 때 소주 사람 최현은 한림학사, 간의태우를 거치고 이부상서를 겸했는데 나이 30에 아들 희성을 낳는다. 희성은 7, 8삭에 말을 하고 걸음을 옮겼으나, 3세가 되어도 글을 배우지 않았다. 5, 6세에 최 공이 글을 가르치려 하니 입을 닫았다. 최 공이 노하여 엄히 경계하였으나, 희성은 “후일 주4에 나아가 벼슬하여 육경재상에 오르고 주5를 가리어 결혼할 것이라.”라고 대답하니, 최 공이 희성을 어루만지고 희성에게 글 가르치는 것을 그친다.

이때 병부시랑 호원이 한 딸을 두어 이름을 '월영', 자를 '운빙'이라 지었는데, 용모가 아름답고 3세에 경서에 능통하고 예악을 알아 부모가 애중히 여긴다.

최현과 호원은 사생붕우로서, 하루는 호원이 최현의 집에 가 술을 나누다가 희성(당시 9세)의 풍채와 기상을 보고 운빙(당시 6세)의 짝이라 생각하여 구혼한다. 최현이 승락하였고, 서찰과 희성의 옥상장도, 운빙의 월기탄을 교환하여 주6로 삼는다.

이때 조정에서는 간신 여희가 정사를 어지럽혀 충신을 모함한다. 간신 연쾌와 더불어 호원을 모함하여 주21, 호원이 일이 되어가는 형세를 짐작하고 유서를 써서 부인과 여아에게 주고 작별한다. 그러나 연쾌가 호원을 가두고 엄히 국문하자 호원은 불복하다가 매를 맞고 죽는다. 부인과 여아가 애통해 하는 중에 최현이 찾아와 상사를 주관한다.

부인은 상복을 입고 유서를 써서 여아에게 주고는 궐문에 나아가 자살한다. 호 소저가 어머니의 시신을 모셔 오니, 최현이 찾아와 “복수를 생각하여 몸을 버리지 말고 희성과의 약속을 잊지 말라.”라고 당부한다.

고향으로 내려가 어버이의 시신을 주9에 모시고 삼년상을 마친다. 이미 집안의 재산은 탕진되었으나 호 소저는 비단을 짜고 수를 놓아 부모의 제사를 극진히 받든다.

이때 고을의 위 자사가 마음이 주11 아내 영씨를 내치고 주12를 구하던 중 호 소저의 주13을 소문으로 듣고 유모에게 구혼하나, 호 소저가 거절하자 주14 경씨를 다시 보내어 소저를 타이르려 한다. 호 소저가 꾸짖고 경씨를 내치니 위 자사는 “일봉 서신과 무사로써 주16.” 하고 최가에서 보내는 거짓 서신을 호 소저에게 보낸다.

의의와 평가

「최호양문록」 전 · 후반부가 유기적으로 결합된 조선 후기 쟁총형 가정 소설의 구조적 특징을 보여 준다. 이 작품은 전반부와 후반부로 나뉘며 전반부는 혼사 장애, 후반부는 쟁총을 다룬다. 그 중에서도 핵심적인 구조는 후반부 처처 간의 쟁총이다. 동시에 「최호양문록」은 당시 가문소설의 영향을 일부 수용하였다. 조선 후기 가정 소설의 갈등 구조에 기반을 두면서도, ‘양문록’이라는 표제, 가문소설에 나타나는 자손의 번창, 주18 모티프 등을 수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 작품은 다양한 이본이 전한다. 일부 이본에서는 주20이 대폭 축소되는 경향이 나타나며, 군담 대신 혼사 장애담이나 애정담이 확장되어 나타난다. 이는 여성 향유층의 취향이 반영된 결과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논문

김재웅, 「<최호양문록>의 구조적 특징과 가정소설적 위상」(『한국학』 33,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주석
주2

국문 소설류를 신식 활판 인쇄기로 찍어 발행한 것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4

과거(科擧)를 보는 장소. 우리말샘

주5

견줄 만한 사람이 없을 정도로 아름다운 여자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6

뒷날에 보고 증거가 되게 하기 위하여 서로 주고받는 물건. 우리말샘

주9

조상의 무덤. 또는 그 근처의 땅. 우리말샘

주11

언행이나 성질이 도리에 어그러지고 사납다. 우리말샘

주12

두 번째 장가가서 맞이한 아내. 우리말샘

주13

여자의 재주와 아름다운 용모. 우리말샘

주14

아버지의 첩. 우리말샘

주16

폭행이나 협박을 하여 강제로 부녀자와 성관계를 갖다. 우리말샘

주18

억지로 혼인을 함. 또는 그 혼인. 우리말샘

주20

전쟁에 대한 이야기. 우리말샘

주21

국가가 법령으로 병역 의무자를 강제적으로 징집하여 일정 기간 병역에 복무시키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2)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