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향정기 ()

고전산문
작품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이칭
이칭
종경기전, 금향정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금향정기」는 작자·연대 미상의 고전소설이다. 당나라 현종 대에 발생한 역사적 사건인 ‘안녹산의 난’을 배경으로 삼아 남녀 주인공인 종경기와 갈 소저의 애정 성취의 과정을 다룬 애정소설로, 중국소설인 「금향정」을 당대 조선의 실정에 맞게 번안한 작품이다.

정의
작자 · 연대 미상의 고전소설.
서지사항 및 이본

국문 필사본(筆寫本) · 목판본(木版本) · 활자본(活字本). 필사본으로는 서울대학교 도서관 소장의 『금향졍긔』(7책), 국립중앙도서관 소장의 『금향뎐기』(1책), 고려대학교 도서관 소장의 『금향졍녹』(1책), 서대석(徐大錫) 소장의 『죵경긔젼』(1책)이 있다.

목판본으로는 경판본(京板本)인 유동신간본(由洞新刊本) 『금향뎡긔』(2권 2책)가 있는데, 파리 동양어학교 · 일본 동양문고 · 대영박물관에 각각 소장되어 있다. 그리고 이능우(李能雨) 소장본(1책)이 있다. 활자본으로는 동미서관(東美書館, 1916) · 신구서림(新舊書林, 1924) · 박문서관(博文書館)에서 각각 간행된 『금향정기』가 있다.

중국소설 「금향정(錦香亭)」을 원전(原典)으로 한 이 작품은 원전을 얼마나 충실하게 번역했는가에 따라 크게 ‘경판본 계열’과 ‘ 세책본 계열’로 나눌 수 있다. 더불어 주목할 점은 상업적인 출판물인 두 계열이 중국본이나 완역본(完譯本)을 저본(底本)으로 하면서 각기 필요한 부분을 취사(取捨)하여 만들었다는 점인데, 이러한 양상은 상업적 이윤을 꾀하면서도 각각의 내용이 겹치는 것을 피하고자 한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하여 경판본 계열은 원전과 대조해 볼 때 변개(變改)된 부분이 있으며 반대로 세책본 계열에서는 원전의 모습이 그대로 반영되어 있다.

내용

이 작품은 안녹산의 난이라는 역사적인 배경을 바탕으로, 남녀 주인공이 만나서 혼인하기까지의 파란만장(波瀾萬丈)한 사건을 엮어 나간 애정소설이다. 유동신간본의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종경기(鍾景期)는 당나라 현종 대의 명신(名臣) 종수의 아들로 17세에 부모를 여의고 삼년상(三年喪)을 마친 뒤 과거에 응시한다. 장안(長安)을 구경하던 중 종경기는 어사 갈태고의 집 후원(後園)에서 갈 소저(葛小姐)를 보고 감탄하다가, 그녀가 떨어뜨리고 간 백릉(白綾) 수건을 발견한다. 그 백릉 수건에는 시가 적혀 있었는데, 종경기는 그 백릉 수건에 화답시(和答詩)를 쓴다.

종경기가 갈 소저의 시비(侍婢) 홍애(紅愛)를 통해 백릉 수건을 갈 소저에게 전하자, 갈 소저는 종경기의 글솜씨에 감탄하며 다시 화답시를 써서 종경기에게 전한다. 다음날 두 사람은 후원 금향정에서 만나 가연(佳緣)을 맺는다.

마침 갈태고가 이백(李白) · 두보(杜甫)를 데리고 금향정으로 오므로, 종경기는 담을 넘어 양 귀비(楊貴妃)의 언니인 괵국부인(虢國夫人)의 화원으로 들어가 괵국부인에게 환대를 받는다. 이후 종경기는 장원 급제(壯元及第)하여 한림학사(翰林學士)가 되었고, 갈태고의 집으로 청혼하러 갔다. 그러나 갈태고는 안녹산과 언쟁을 벌이다 좌천(左遷)되어, 갈 소저와 이미 집을 떠나고 없었다.

한편 종경기는 안녹산과 이임보(李林甫)의 처벌을 요구하는 상소(上疏)를 올리고서 투옥되었다. 그러나 두보의 도움으로 종경기는 죽음을 면하고 서천만호(西天萬戶)로 부임하게 된다.

종경기는 명경사에서 모해(謀害)를 입고 자신을 모시던 노비와 함께 달아나다가 범을 만나 다시 위기에 빠진다. 뇌만춘(雷萬春)의 도움으로 목숨을 건진 종경기는 뇌만춘의 간청으로 그의 질녀(姪女)인 청연과 혼례를 올린다. 이후 종경기는 뇌만춘의 도움으로 무사히 임지(任地)인 서천에 도착하여 서천만호로 부임하고, 뇌만춘은 남제운(南霽雲)을 만나 의형제를 맺는다.

안녹산이 양 귀비를 움직여 양국충(楊國忠)과 결탁하고 반역을 도모하여 자칭 황제가 되고, 갈태고와 그 일가족을 감옥에 가둔다. 그리고 안녹산의 아들 안경서(安慶緖)가 갈 소저를 핍박하자, 갈 소저는 벽주(碧珠)와 함께 남쪽으로 도주한다.

갈 소저는 천신만고(千辛萬苦) 끝에 낙양(洛陽)에 도착하여, 자운암의 주지(住持)가 된 괵국부인의 도움으로 자운암에 머물게 된다. 그러다 안경서가 자운암에 온다는 소식에 갈 소저는 도망치다가 길을 잃었는데, 다행히 어부인 노부부의 도움을 받는다.

양국충 · 양 귀비가 죽임을 당하고 태자가 황제에 오르면서, 갈태고는 감옥에서 풀려난다. 감옥에서 풀려난 갈태고는 딸이 죽은 줄 알고 슬퍼한다. 갈태고가 황제를 모시고 오다가 종경기를 만나 딸과의 언약을 듣게 된다. 조정(朝廷)이 안정되자 갈태고는 순무사(巡撫使)가 되고 종경기는 서북경략사가 되어 도적 잔당(殘黨)을 토벌하고 민심을 안정시킨다.

갈태고는 자운암에서 딸의 생존 소식을 듣고 벽주를 양녀로 삼는다. 갈 소저는 어부의 모략으로 분양궁의 궁녀로 팔렸으나, 죽음으로써 정절(貞節)을 지키고자 한다. 종경기는 안경서와 접전(接戰)하다가 뇌청연의 도움으로 승리한다.

곽자의(郭子儀)가 갈 소저의 일을 알고 황제에게 아뢰자, 황제가 갈 소저와 종경기의 혼인을 주선한다. 종경기는 갈 소저가 다른 여자인 줄 알고 갈태고에게 갈 소저를 보내라고 한다. 갈태고는 마지못해 벽주를 보낸다.

갈 소저와 벽주 일행이 만나 서로가 갈 소저라고 말하자, 종경기는 백릉 수건을 보고 갈 소저를 분별해 낸다. 갈 소저와 벽주가 차례로 행례(行禮)하고, 경사(京師)로 와 가족이 상봉(相逢)한다. 종경기는 세 부인과 함께 영화(榮華)를 누리고 천수를 다한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안녹산의 난과 같은 당나라 현종 대의 역사적 사실을 배경으로, 허구적 인물인 남녀 주인공이 숱한 고난을 극복하고 애정을 실현해 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다. 중국소설 「금향정(錦香亭)」과 그 구성이 일치하므로 번안소설(飜案小說)임을 확인할 수 있다. 중국소설에 비해 분량이 훨씬 적고 도교적(道敎的)인 요소가 약화되어 서사 전개가 합리적이다.

유교적인 덕목(德目)을 강조하는 부분이 첨가되어 있으며, 그 가운데서도 남녀의 자유로운 결혼과 사랑을 중요시한 점은 조선조 양반 사회의 규범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한국 소설사의 일련의 흐름과 일치한다.

전체적으로 번안 과정에서 군담(軍談)을 많이 생략했으며, 여성 인물 뇌청연이 지략(智略)을 쓰고 직접 전쟁에 참여하여 승리하는 장면을 추가한 것은 우리 소설의 여장군형의 이야기를 삽입한 것으로 파악된다. 중국소설의 번안이면서도 한국적인 정서와 사상이 반영된 작품으로, 한국소설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작품이다.

참고문헌

원전

경판본(유동신간본) 『금향뎡긔』(2권 2책)

단행본

김기동, 『한국고전소설 연구』(교학사, 1981)

논문

박재연, 「조선시대 중국통속소설 번역본의 연구」(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신동익, 「금향정기연구」(『국어국문학』 65·66, 국어국문학회, 1974)
유춘동, 「일본 동양문고 소장 세책 고소설의 성격과 의미」(『民族文化硏究』 64,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4)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