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당집 ()

목차
관련 정보
유당집
유당집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학자, 김니의 시 · 전장 · 제문 · 교서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학자, 김니의 시 · 전장 · 제문 · 교서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5권 2책. 목활자본. 권두에 1767년(영조 43) 이장로(李長老)가 쓴 서문과, 1910년 김윤식(金允植)이 쓴 서문이 있고, 권말에 1910년에 쓴 이광종(李光鍾)의 발문과 1911년에 쓴 한회선(韓晦善)·주면섭(朱冕燮)·박희국(朴熙國)·김용하(金龍河) 등의 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2에 부(賦) 2편, 시 226수, 권3에 전장(箋狀) 8편, 잡저 3편, 명(銘) 3편, 제문 7편, 권4·5에 부록으로 교서(敎書)·성지(聖旨)·포계(褒啓)·유사·선정비명(善政碑銘)·묘표·행장·신도비명·축문·향사지(鄕祠誌)·문헌록·가장·제가장후(題家狀後)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칠언절구와 칠언율시의 비중이 크다. 저자는 문장보다는 시에 더 재능이 있었으며, 그의 작품 중 「우성사수(偶城四首)」·「희우시(喜雨詩)」·「소양정(昭陽亭)」·「백두음(白頭吟)」 등은 주목할 만하다.

관련 미디어 (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