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억겸 ()

유억겸
유억겸
인물
일제강점기 연희전문학교 교수, 조선체육회 회장 등을 역임한 교육자. 친일반민족행위자.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6년(고종 33) 10월 23일
사망 연도
1947년 11월 8일
본관
기계(杞溪)
출생지
서울
관련 사건
흥업구락부사건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일제강점기 연희전문학교 교수, 조선체육회 회장 등을 역임한 교육자. 친일반민족행위자.
생애 및 활동사항

1896년 서울에서 출생했다. 유길준의 둘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순종의 황후 윤씨의 동생, 중추원 참의를 지낸 유만겸의 동생이다. 어려서 한학을 수학했으며, 1907년 계산학교(桂山學校)를 입학하여 1911년 졸업했다. 이해 4월부터 중앙기독교청년회 학관 중등과에서 5개월간 수학한 후 1912년 9월 일본으로 건너가 도시샤중학교[同志社中學校]에 들어가 1916년 3월 졸업했다. 7월 교토 관립 제3고등학교에 입학, 1919년 6월 졸업했다. 7월 도쿄제국대학 법학부에 들어가 1922년 3월 졸업했다.

졸업 후 일본에서 1년간 도쿄제국대학 대학원에서 법학연구를 하고 1923년 3월 귀국했으며, 4월 중앙고등보통학교교사, 8월 연희전문학교 교수로, 1924년 4월 부학감, 9월 학감을 맡았다. 조선기독교청년회에서 전개한 사회운동에 참여해 소년척후단조선총연맹발기회 간사로 활동했으며, 1925년 7월 조선체육회 위원에 선출되었다. 이해 9월 조선사정연구회 조직할 때 발기인, 11월 태평양문제연구회 조선지회 위원, 1927년 신간회 발기인으로 참여했다. 1934년 연희전문학교 부교장, 1937년 조선체육회 회장으로 선임되었다. 1938년 흥업구락부사건으로 3개월 동안 옥고를 치른 뒤 전향성명서를 발표하고 가출옥했다. 출옥 후 연희전문학교 교수를 사임하고 1937년부터 변호사로 활동했다. 1941년 연희전문학교 서무부장으로 복직되었다가, 1942년 9월 일제의 사립학교 탄압으로 사임했다.

중일전쟁 이후 일제에 협력하여 1938년 2월 조선지원병제도제정축하회 발기인, 5월 기독교 친일단체 조선기독교연합회 평의원, 1939년 7월 시국대응전선사상보국연맹 본부 상임간사·교양부장·경성분회 제3분회장, 1940년 12월 대화숙, 1941년 8월 흥아보국단 준비위원, 임전대책협의회 발기인·채권가두판매대 광화문대 대원, 10월 임전보국단 이사, 1943년 학도병 종로익찬회 강연대원, 1945년 6월 조선언론보국회 명예회원 등으로 활동했다. 해방 후 한국민주당 창당 발기인으로 참여했으며, 미군정청 학무국 조선인교육위원, 문교무 학무국장, 문교부장 등을 역임했다. 1947년 5월 조선체육회 부회장, 9월 회장으로 추대되었다. 1947년 11월 8일 사망했다.

유억겸의 이상과 같은 활동은 「일제강점하 반민족행위 진상규명에 관한 특별법」 제2조 제11·13·17호에 해당하는 친일반민족행위로 규정되어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 Ⅳ-10: 친일반민족행위자 결정이유서(pp.620∼659)에 관련 행적이 상세하게 채록되었다.

상훈과 추모

1962년 대한민국장을 받았으며, 연세대학교에 유억겸기념관이 있다.

참고문헌

『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 보고서』Ⅳ-10: 친일반민족행위자 결정이유서(친일반민족행위진상규명위원회, 현대문화사, 2009)
『한국 교육사상가 평전』Ⅱ(손인수, 문음사, 1990)
『진리와 자유의 기수들』(연세대학교, 1982)
『연세대학교사』(연세대학교, 1969)
『매일신보』(1937.8.6; 1937.8.24; 1938.2.9; 1938.2.10; 1938.4.8; 1938.9.4; 1942.5.24; 1943.11.5; 1944.1.6; 1944.9.25; 1945.6.9)
『동아일보』(1924.3.21; 1924.3.22; 1925.6.10; 1925.7.6; 1925.11.30; 1927.1.20; 1937.7.4; 1945.12.21; 1947.9.29)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성주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