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여매쟁춘 ()

고전산문
작품
조선 후기에 지은 작자 미상의 산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지은 작자 미상의 산문.
개설

한글필사본. 이 글의 필사연대는 필사본의 다른 낱장에 부기(附記)된 간지(干支)로 보아 1779년(정조 3)으로 추정된다. 작품의 내용은 탐춘자(探春子)의 꿈 이야기로 되어 있다. 맨 끝부분에 “이 일이 가장 기괴할 쌔 기록하여 전하노라.”라고 부기한 것으로 볼 때, 작자가 스스로를 탐춘자라는 가상인물로 내세워 쓴 글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작자 자신이 실제 꾼 꿈 이야기라기보다는 꿈에 가탁(假托)하여 작자가 느낀 이른 봄의 감회를 우의적(寓意的)으로 서술한 것이다.

내용

입춘 후 15일에 탐춘자는 얼핏 든 잠결에 꿈을 꾸게 되었다. 꿈속에서 탐춘자는 천상의 대궐 안 옥황상제의 앞에 나아갔는데, 때마침 송사(訟事)가 벌어지고 있었다. 송사는 푸른 저고리, 노란 치마를 입은 여인(靑衣者 : 버들)과 소복담장(素服淡粧)한 여인(白衣者 : 매화) 사이에 일어난 일이었다.

청의자가 먼저 자신의 출신과 당명황(唐明皇) 시절 공을 세워 천은(天恩)을 입은 일(양귀비에게 있었던 일)을 내세웠다. 이에 백의자는 신선의 자손으로서 부귀영달을 좇지 않고 산 속에서 살았는데, 당명황 시절 딸이 궁중에 들어가 명황의 총애를 받다가 양귀비로 인하여 내침을 받아 외따로 거처하게 되었다는 이야기(매비(梅妃)에 관한 일)와 천보(天寶) 때 난리를 내게 한 양귀비의 잘못을 아뢰었다.

옥황상제는 두 사람의 이야기를 듣고 나서, 청의자에게는 당(唐)시절에 궁중을 더럽히고 나라를 어지럽힌 죄를 나무랐다. 반면 백의자에게는 청의자와 견줄 수 없는 덕이 있음을 칭찬해 주었다. 탐춘자가 몸에서 갑자기 찬바람이 일어나 깜짝 놀라 깨어보니 꿈이었다. 창을 열고 밖을 내다보니, 버들이 곧 잎을 피우려 하고 매화 또한 피려는 모습이었다. 이는 마치 꿈속에서 본 청의자와 백의자의 다툼과 같은 것이라고 볼 수 있었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작자가 봄을 기다리는 심정을 표현한 것으로, 그 구성이 간결하고 재치 있다. 작자는 이른 봄의 버들과 매화가 봄을 두고 서로 시샘하는 것 같다고 하여, 버들은 양귀비로, 매화는 매비로 의인화함으로써 인정기미를 풍자하고 있다. 국사(國事)를 어지럽힌 양귀비를 벌주고, 맑은 덕으로 외따로 산 매비를 칭송하는 옥황상제의 이야기는, 작자가 이 글에 담고자 한 교훈이기도 하다. 짧은 한 편의 글이지만 한글 고전수필, 우화적인 수필로서의 가치가 있다.

참고문헌

『한국수필문학연구』(최승범, 정음사, 198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