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나는 같은 어버이에서 태어난 사람들 중 남자가 여자 형제를 이르는 말이다. 누님, 누이라고도 한다. 오빠와 누이를 함께 일컬어 오누이, 오뉘, 남매라고 한다. ‘누이’의 경우, 남자 쪽에서 보아 항렬(行列)이 같은 여자이면 손위거나 손아래를 가리지 않고 두루 광범하게 부를 때에 사용한다. 한자로는 손윗누이를 ‘자(姉)’로, 손아랫누이를 ‘매(妹)’로 구분하여 썼다. 김소월은 그의 시 「엄마야 누나야」에서 ‘누나’를 다정하고 친근하게 표현하였다. 서정주의 시 「국화 옆에서」에 쓰인 ‘누님’이라는 말에는 정중함이 깃들어 있다.
대개 어린 시절에 사용하고, 높여 부를 때에는 ‘누님’이라고 한다. ‘누이’라는 말로도 부르는데, 이 말은 남자 쪽에서 보아 항렬(行列)이 같은 여자이면 손위거나 손아래를 가리지 않고 두루 광범하게 부를 때에 사용한다. 굳이 구분지을 때는 손윗누이 · 손아랫누이가 된다. 그러나 예사의 경우는 자기보다 나이가 적은 여자에 대하여 쓰인다.
옛 문헌에는 누이를 ‘누위’ · ‘누의’ · ‘아ᅀᆞ누의’라 하였고, 누님은 ‘누으님’이라 하였다. 한자로는 손윗누이를 ‘자(姉)’로, 손아랫누이를 ‘매(妹)’로 구분하여 썼다.
남을 높여 그의 손윗누이와 손아랫누이를 이를 때에도 자씨(姉氏)와 매씨(妹氏)로 구분하였다. 친사촌 · 외종사촌 · 내종사촌 간에도 손위 · 손아래를 따져서 종자매(從姉妹), 외종자매(外從姉妹), 내종자매(內從姉妹)로 썼다.
죽은 손아랫누이는 망매(亡妹)라 하였다. 신라 경덕왕 때의 월명사(月明師)는 유명한 「제망매가(祭亡妹歌)」를 지었다. 자기보다 먼저 죽은 손아랫누이를 ‘한가지에 달렸던 나뭇잎이 가을철 바람에 먼저 떨어진 것’으로 비유하였다. 오빠와 누이를 함께 일컬어 ‘오누이’ · ‘오뉘’ · ‘남매(男妹)’라고 한다. 그러나 ‘남매’라는 말은 ‘매부와 처남’이라는 딴 뜻으로도 쓰인다.
그리고 형제자매를 통틀어 이를 때에는 ‘동기(同氣)’라는 말을 쓴다. 옛날의 민요에는 더러 오빠와 누이 사이의 갈등을 노래한 것도 있다. 이는 부계 중심의 가족제도, 특히 조선시대의 유교적인 도덕사상에서 빚어진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속에서도 ‘동기일신(同氣一身)’ · ‘동기지친(同氣之親)’이라는 말이 있어 왔고, 오늘날에는 어버이들의 아들과 딸에 대한 차별의 생각도 많이 사라졌다.
정철(鄭澈)의 「훈민가」 중 “형아 아우야, 네 살을 만져 보아. 뉘게서 태어났기에 모습까지 같은 것인가. 한젖 먹고 자라나서 딴마음을 먹지 말라.”는 노래도 동기간에는 우애하여야 한다는 것을 일깨워 주고 있다.
누나라는 말에는 다정하고도 친근한 정감이 깃들어 있다. 이 정감을 잘 살려서 시를 쓴 시인은 김소월(金素月)로서, 그의 시 「엄마야 누나야」와 「접동새」를 들 수 있다.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뜰에는 반짝이는 금모래빛/뒷문 밖에는 갈잎의 노래/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의 「엄마야 누나야」에는 어린 시절 누구나 누나에 대하여 가질 수 있는 정감이 담겨 있다.
「접동새」는 옛날 어느 의붓어머니의 구박에 죽은 누나의 슬픈 이야기를 소재로 하였다. “접동/접동/아우래비접동/진두강(津頭江) 가람가에 살던 누나는/진두강 앞 마을에/와서 웁니다/옛날, 우리나라/먼 뒤쪽의/진두강 가람가에 살던 누나는/이붓어미 시샘에 죽었읍니다/누나라고 불러보랴/오오 불설워/시새움에 몸이 죽은 우리 누나는/죽어서 접동새가 되었읍니다/아홉이나 남아 되던 오랩동생을/죽어서도 못잊어 차마 못잊어/야삼경(夜三更) 남 다 자는 밤이 깊으면/이 산 저 산 옮아가며 슬피 웁니다.”
누님이라는 말을 시어로 쓴 시로는 서정주(徐廷柱)의 「국화 옆에서」를 들 수 있다. “……그립고 아쉬움에 가슴 조이던/머언 먼 젊음의 뒤안 길에서/인제는 돌아와 거울 앞에 선/내 누님같이 생긴 꽃이여……”가 그것이다. 누나라는 말에는 다정한 정감이 서려 있다면, 누님이라는 말에는 정중함이 깃들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