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동새

목차
관련 정보
현대문학
작품
김소월(金素月)이 지은 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김소월(金素月)이 지은 시.
개설

5연 18행의 자유시이다. 1923년『배재(培材)』2호에「접동」이란 제목으로 발표했다가 1925년매문사(賣文社)에서 펴낸 첫 시집『진달래꽃』에 「접동새」로 제목을 바꾸어 실렸다. 그 뒤 1939년김안서(金岸曙)가 정리한 유고와 시집『진달래꽃』의 일부 시와 함께『소월시초(素月詩抄)』에 실렸다.

내용

이 시는 민담을 시화한 작품으로 소월이 어렸을 때 숙모 계희영(桂熙永)가 들려준 설화를 소재로 하고 있다. 평안도 박천땅 진두강가에 살았던 오누이의 슬픈 이야기로 큰 누나가 출가를 앞두고 계모에게 억울한 죽음을 당해 원혼이 접동새가 되어 남은 동생들을 못 잊어 밤이면 이산저산 옮겨 다니며 구슬피 운다는 내용이다.

1연은 접동새 울음 소리를 객관적으로 제시하고 있으며, 2∼5연은 1연을 떠받치는 의미론적 단락을 이룬다. 그러므로 이 시의 민담적 요소와 의미는 2∼5연에서 제시된다. 특히 4연에서 ‘누나하고 불너보랴/ 오오 불설워’라고 화자의 주관적 정서가 개입되어 ‘누나’가 ‘접동새’로 변주되는 의미의 확장을 가져온다. 이 부분에 전실자식들과 후실간의 대립적 갈등과 선악관이 드러나고 결국은 비극적 운명으로 끝날 수밖에 없는 한(恨)의 맺힘을 보여준다. 어머니를 일찍 여의고 어린 아홉 동생을 거느린 큰 누나는 어머니 역할을 대신해야만 했지만 계모는 표독스러워 전실자식들을 몹시 학대한다. 마침내 계모의 학대와 간계에서 못 벗어난 큰 누나는 죽임을 당한다.

이 시에서는 특히 소월의 향토적 언어 감각이 두드러진다. ‘아우래비’는 ‘아홉 오라비’의 의미와 접동새의 울음을 의성적으로 환기시키고 있고, ‘불설워’, ‘오랩동생’ 같은 방언은 향토적 정서를 환기시킨다. 진두강(津頭江) 역시 향토적 공간성을 형성하는데 그 핵심은 정서의 보편적 표출이라 할 수 있다. ‘진두’는 ‘나루’의 보통명사임을 볼 때 그렇다. 소월은 태어나서 자란 고향을 떠나 산 적이 없다. 그처럼 이 시에서도 향토적 자연과 정서, 농촌의 소박한 인정 풍속을 느낄 수 있다. 이는 우리 민족의 보편적 정서라 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이 시는 민담의 시화라는 필요조건을 넘어서서 민요율격의 채택과 변용이라는 점에서 민요시의 충분조건을 지니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7.5조를 통해 전통율격의 수용과 변용에 기여한 시사적 의의를 지닌다.

참고문헌

『현대시인연구』(김학동, 새문사, 1995)
『김소월』(김학동 편, 서강대출판부, 1995)
『한국현대시작품론』(김용직·박철희 편, 문장, 198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