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빠

목차
가족
개념
같은 부모에게서 태어나거나 일가친척 가운데 같은 항렬의 여자가 손윗 남자를 가리키는 친족용어.
목차
정의
같은 부모에게서 태어나거나 일가친척 가운데 같은 항렬의 여자가 손윗 남자를 가리키는 친족용어.
내용

‘오라버니’와 같은 말이다. 연령적으로 10대 전후까지의 여자가 많이 사용하나, ‘오라버니’보다는 다정한 느낌이 드는 말이기도 하다. 어버이가 딸에게 아들을 일컬을 때에는 ‘오라비’·‘오라범’이라 하기도 한다.

한편 ‘오라비’는 여자가 오라버니를 낮추어 일컫거나, 남에게 자기의 남동생을 이를 때에도 사용한다. 사투리로는 ‘오라방’·‘올배’·‘오랍시’·‘오랍동생’ 따위가 있다. 또한, ‘오라범’은 ‘오라비’의 좀 높임말이 되기도 하고, 아주 높임말은 ‘오라버님’이 된다.

‘오라비’·‘오라버님’은 조선시대의 문헌에 나타난 것을 볼 수 있다. ‘오라바님’으로 기록되기도 하였다. 이에 반하여 오빠는 20세기에 들어와서 이루어진 말인 것 같다. 최초의 필사본 국어사전이라 할 수 있는 ≪국한회어 國漢會語≫(1895)에는 오빠라는 낱말이 없기 때문이다.

문세영(文世榮)의 ≪조선어사전≫(1938)에 와서야 ‘오빠:계집애가 오라비를 부르는 말’로 들어 있고, 한글학회의 ≪큰사전≫(1957)에는 ‘오빠:오라버니의 어린이 말’로 해설되어 있다.

‘오빠’라는 말이 뒤에 이루어진 것은 아버지를 ‘아빠’라고 부르는 것과 같은 구조에서라고 볼 수 있다. ‘압(父)+아(호격조사)→아빠(된소리화)’와 같이 오라비의 ‘오’에 ‘빠’가 이어진 것이다. 오빠가 등장하는 민요도 적잖이 볼 수 있다. 그러나 그 대부분은 금세기 전후에 불려진 것으로 보인다. 몇 수를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멍텅구리 우리 오빠·과거 보러 서울 가서/노비 열냥 빼앗기고/급제장원 꿈꾸다가/낙제퇴각 만나고서/어제 저녁 개짖는데/살작 들어 자는 꼴은/똑 미워서 못 살겠네”(남해지방), “청춘이라 조비 끝에/무정하신 우리 오빠/부부일신 알아주고/형제일신 몰라주나/오빠가요 안살찌면/하나님이 날 살찌지/오빠 죽어 개구리 되어/나는 죽어 배암 되서/오월이라 단오날에/미나리강에 만나보자.”(대구지방).

“우리 오랍시 남잔골로/논도 차지 밭도 차지/대궐 같은 집도 차지/하늘 같은 부모 차지/요네 나는 여잔골로/묵고 가는 밥뿐이요/입고 가는 옷뿐이요/시켜주소 시켜주소/글공부나 시켜주소.”(광양지방).

이와 같은 노래에서는 노자만 잃고 과거에 떨어진 오빠, 부부일신만 알고 남매간의 정은 모르는 오빠, 같은 집안에 살면서도 남존여비로 인하여 오빠의 위치만이 높은 데 대한 누이로서의 불만을 드러내 놓고 있다.

이에 반하여 다음의 노래들은 다르다. “우리 형님 가는 길에/연지 분지 걸렸거라/우리 오빠 가는 길에/황금떵이 걸렸거라.”(부천지방)의 노래는 오빠의 앞날에 행운이 있기를 빌고 있으며, “우리 올배 없었드면/어느 누가 다정함이 많아/십리 장을 팽이 치듯/서돈 주고 사다 줄까.”(영주지방)는 갑사댕기를 사다 준 오빠의 다정함을 노래하고 있다. 같은 어버이에게서 태어난 오누이 사이는 서로 화목하고 정겨운 사이여야 한다.

참고문헌

『국한회어(國漢會語)』(이준영외, 필사본, 1895)
『조선어사전』(문세영, 영창서관, 1938)
『한국민요집』(임동권, 동국문화사, 1961)
『어휘사연구』(류창돈, 이우출판사, 1975)
『한국의 친족용어(親族用語)』(최재석, 민음사, 1988)
집필자
최승범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