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5판. 총 1,690면. 1938년 조선어사전간행회(朝鮮語辭典刊行會)에서 간행하였다. 권두에 ‘지은이말슴’ 3면, ‘일러두기’ 5면, 본문 1,634면, 권말에 ‘한문글자 음찾기’ 26면, ‘ 이두(吏讀) 찾기’ 22면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문은 4단으로 세로로 짜여 있다.
이 사전은 수록 어휘가 10여만을 헤아리며 배열방식이나 주석의 내용도 세련되어 있고 현대사전으로서의 면목을 갖추고 있다. 「한글맞춤법통일안」에 의하여 표기한 최초의 사전이기도 하여 당시의 표준어 보급에도 기여한 바 크다.
어휘수집과 주석은 10여년의 각고 끝에 이루어졌다고 하는데, 주석 · 체재 · 인쇄 · 교정 과정에서는 편자와 교분이 있었던 이윤재(李允宰) · 한징(韓澄) 등의 도움이 절대적이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표기는 「한글맞춤법통일안」을 준수하였는데 일반 열람자를 위하여 새로 제정된 맞춤법과 대조하여 제시하기도 하였다. 즉, 돗치다→돋히다, 업다→엎다 또는 없다 등으로 되어 있다. 외래어 표기는 개인적인 생각인 듯한 표기가 가끔 나타난다. 가령, ‘○뽈(net ball)’, 그리고 유성음 ‘g, d, b’를 일률적으로 된소리로 표기한 따위가 그것이다.
복합어는 각 형태소를 짧은 선으로써 나타내었다. 장음표시는 해당음절 왼쪽에 쌍점(ː)으로 하였는데, 제2음절 이하에서 단음화하였을 때에도 그것이 원래 장음이면 그대로 표시하였다(보기 : 번ː호(番號), 옛ː말 등). 품사는 명사 · 대명사 · 자동사 · 타동사 · 지정사 · 접속사 · 부사 · 형용사 · 감탄사 · 조사의 9품사로 나누고, 수사는 명사에 포함시키고 관형사는 접두사로 처리하였다.
그리고 접미사와 접두사도 표제어로 삼아 풀이하였는데, 접두사에 딸린 파생어들은 총독부편 『조선어사전(朝鮮語辭典)』에서와 같이 따로 표제어로 삼지 않고 그 접두사 밑에 일괄적으로 벌여 풀이하였다. 배열순서는 「한글맞춤법통일안」에 준하였는데, 초성의 경음은 따로 세우지 않고 평음과 동등하게 다루었다.
어휘는 순수국어 · 한자어 · 외래어 · 옛말 · 이두 · 방언, 그리고 속담 · 성구(成句) 등이 포함되어 있고 일부 고유명사들이 포함되었다. 명사의 주석은 명사로 끝내어 풀이하였고, ‘―하다’ 따위를 붙여 동사나 형용사가 되는 부수항목의 풀이는 의존명사 ‘것’으로 끝냄을 원칙으로 하였다.
그리고 동사 · 형용사의 풀이는 서술어로 끝내되 동사는 동사 서술어로, 형용사는 형용사 서술어로 풀이하였다. 발음의 표시는 대체로 표기와 달리 발음되는 경우에 한정하였고, 변칙활용의 경우에는 변칙의 종류를 표시하고서 ‘아 · 어, ㄴ · 은(또는 ‘니, ㄴ’)’과의 결합형을 표시하였다.
이 사전은 1940년 12월에 약 1만 단어를 추가하고 일부 주석을 보완하여 약 200여 면을 증면, 1,854면으로 하여 수정증보판을 출간하였는데, 출판비용을 감당하지 못하여 저작권이 강의영(姜義永)에게로 넘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