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우중문 ()

삼국사기 열전(제44권3)
삼국사기 열전(제44권3)
한문학
작품
고구려 영양왕 때 을지문덕(乙支文德)이 지은 한시.
이칭
이칭
여수장우중문, 유수장우중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구려 영양왕 때 을지문덕(乙支文德)이 지은 한시.
구성 및 형식

을지문덕이 수나라 장군 우중문(于仲文)에게 준 오언 고체의 단형시(短形詩)이다.

『삼국사기』을지문덕전에 이 시의 제작경위가 기록되어 있으며, 제목은 후대에 붙여진 것이므로 ‘여수장우중문(與隋將于仲文)’ 또는 ‘유수장우중문(遺隋將于仲文)’이라고도 한다.

『동문선』을 비롯한 대부분의 시선집(詩選集)에는 오언절구 속에 포함시키고 있으나, 그 염법(簾法 : 평칙법)으로 보아 절구라고는 할 수 없으며, 특히 근체시(近體詩)가 완성된 것이 당대(唐代)이고 보면 시대적으로도 맞지 않으므로, 오언고시에 넣는 것이 옳을 것이다.

내용

원시는 다음과 같다. “신기한 계책은 천문을 헤고 교묘한 계산은 지리를 꿰뚫었네. 싸움에 이겨 공이 하마 높았으니 만족하고 이만 그쳐 주게나(神策究天文 妙算窮地理 戰勝功旣高 知足願云止).” 이 가운데서 결구의 ‘知足願云止(지족원운지)’에서 ‘云(운)’을 ‘實(실)’자로 풀이하는 사례도 있어 왔으나 이것은 뜻이 없는 ‘助(조)’자로 보아야 옳다.

의의와 평가

유득공(柳得恭)은 『영재집(泠齋集)』에서 을지문덕을 평하기를 ‘문무가 구미(具美)한 진재사(眞才士)’라 하였으며, 이규보(李奎報)는 『백운소설』에서 이 시를 평하여 ‘구법(句法)이 기고(奇古)하고 굳센 기상이 있는 작품’이라고 하였다.

참고문헌

『백운소설(白雲小說)』
『동문선(東文選)』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