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장환 ()

근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충청도관찰사, 한성부판윤, 예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운여(雲汝)
이재(頤齋), 난실(蘭室)
시호
효정(孝靖)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798년(정조 22)
사망 연도
1872년(고종 9)
본관
기계(杞溪)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충청도관찰사, 한성부판윤, 예조판서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기계(杞溪). 자는 운여(雲汝), 호는 이재(頤齋)·난실(蘭室). 아버지는 직장 유평주(兪平柱)이며, 어머니는 이길모(李吉模)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26년(순조 26)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였으며, 설서·지평·교리를 거쳐 1829년에는 진하서장관(進賀書狀官)으로 중국에 다녀왔다. 그 뒤 참의·참판·승지·대사간 등 요직을 지냈고, 안변·경주·양양·강계·회양·파주의 수령을 역임하였다.

또, 1858년(철종 9) 이후에는 강화유수·도총부도총관·의정부우참판에 임명되었고, 1862년 임술민란(壬戌民亂)이 일어난 뒤 충청도관찰사가 되어 민심수습과 치안유지에 힘썼다.

고종 즉위 후에도 대사헌·한성부판윤·예조판서 등 고위직에 등용되었으며, 1864년 사은 겸 동지정사(謝恩兼冬至正使)로 중국에 다녀왔다. 1867년 기로사(耆老社)에 들어갔고, 시호는 효정(孝靖)이다.

참고문헌

『순조실록(純祖實錄)』
『헌종실록(憲宗實錄)』
『철종실록(哲宗實錄)』
『고종실록(高宗實錄)』
『기계유씨족보(杞溪兪氏族譜)』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