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천 학월리 패총 ( )

선사문화
유적
북한 황해남도 은천군에 있는 석기시대 신석기의 토기류 · 뼈연장 등이 출토된 조개더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북한 황해남도 은천군에 있는 석기시대 신석기의 토기류 · 뼈연장 등이 출토된 조개더미.
개설

1957년 관개수로를 만들기 위한 굴착공사 과정에서 발견되었다. 유적은 대동강 하구에 위치하고 있는 반월동 마을 뒤편의 구릉지 서북쪽 경사면에 이루어졌다.

내용

유적의 규모는 길이 50∼60m, 너비 8∼10m로서 총면적은 400∼600㎡에 이르며 포함층의 깊이는 약 3m 가량이다. 여기에 쌓인 조개껍질은 주로 굴·밤조개·백합조개·섭조개·달팽이들로 그 중에서도 굴·백합조개·달팽이 껍질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유물들은 조개무지의 표면과 파괴된 단층에서 드러났다.

여기에서는 다양한 무늬로 장식된 토기편들을 비롯해 돌도끼·돌괭이·그물추·뼈송곳·사슴뿔로 만든 뒤지개 등이 나왔다. 토기의 바탕흙에는 곱돌과 모래 알갱이가 섞였고 색깔은 적갈색이며 간혹 흑갈색도 있다. 토기에 나타난 무늬는 크게 세 종류로 나뉜다.

평행된 빗금무늬를 연속해서 엇갈리게 그어 번개무늬띠와 같은 모습을 나타낸 것, 줄무늬와 삼각형무늬를 배합해서 나타낸 것, 4, 5가닥의 살로 이루어진 시문구로 그은 줄무늬 사이에 평행 빗금을 그은 것 등이 있다.

이렇듯 비교적 복잡한 무늬는 일반적으로 서해안의 다른 신석기 유적에서는 비교적 드물게 나타나는 특이한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돌도끼는 화강암질의 돌을 쪼아서 만든 것으로 횡단면은 모를 죽인 장방형이며 날부분으로부터 밋밋하게 좁혀져 머리부분에 이르러서는 훌쭉하게 좁혀졌다.

골제의 송곳은 짐승의 다리뼈를 뾰족하게 갈아 만든 것으로 길이는 13.5㎝이다. 사슴뿔을 갈아 만든 것도 있는데 양쪽이 부러져 자세한 것은 알 수 없으나 송곳으로 생각된다. 길이 21.5㎝, 지름 2.3㎝이다. 이 밖에 끝부분이 갈린 흔적이 있는 돌괭이로 보이는 석기 1점이 수습되었다.

의의와 평가

이곳에서 수습된 유물의 종류가 많지는 않으나 토기에 나타난 무늬의 양상은 함경북도나 연해주 일대에서 나타나는 늦은 시기의 신석기시대에 속하는 빗살무늬계통의 토기의 성격과 비슷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참고문헌

「황해도 북부지방 유적답사보고」(리원근, 『문화유산』 1961년 6호, 과학원출판사)
집필자
지건길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