높이 3m. 1974년 경상남도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2중기단 위에 3층의 탑신부(塔身部)를 형성하였는데, 상 · 하 기단 면석(面石)에는 2우주[隅柱 : 모서리기둥]와 1탱주[撑柱 : 받침기둥]를 모각(模刻)하였다. 탑신은 각 층의 양 우주가 모각되어 있고, 옥개(屋蓋)받침은 5단이다.
상륜부(相輪部)는 노반[露盤 : 탑의 최상부 옥개석 위에 놓아 복발 · 앙화 · 상륜 등을 받치는 장식]만이 남아 있으며 보주(寶珠)는 뒤에 끼워 넣은 것이다. 1974년에 요사(寮舍) 앞에 있던 것을 현재의 위치로 옮겨 세우면서 일부 보수를 하였다. 이 탑 주변에는 석등의 대석(臺石)과 당간지주 등의 석물 부재가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