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탑리고분(義城塔里古墳)은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탑리리에 있는, 피장자가 조문국의 후예이자 최고 수장층 일원으로 추정되는 무덤이다. 대리리 · 학미리 고분군과 함께 2021년에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이곳의 발굴 조사를 통하여 삼국시대 의성 지역의 정치 · 사회 · 문화적인 성격이 일부 파악되었다. 도질토기류는 신라토기양식 수용 후 의성양식토기로 변화하여 이후 안동, 예천, 상주, 소백산맥 이북 지역으로 전파되었다. 5세기 대 의성은 신라의 변방이면서도 요충으로 역할을 하였지만, 고구려와의 관계도 밀접하였음을 알 수 있다.
1960년 12월 국립중앙박물관 조사단에 의하여 탑리역 앞에 있는 고분군 중 가장 큰 봉토분을 선정하여 발굴 조사하었다. 현재는 발굴 조사된 고분이 위치한 탑리리를 비롯하여 대리리 · 학미리 고분군과 함께 2021년에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고분이 자리한 주변은 동남쪽에 위치한 금성면의 진산(鎭山)인 금성산에 금성산성이 자리잡고 있으며, 그 서쪽 기슭에 자리한 탑리리마을에는 통일신라시대에 건립된 오층모전석탑(五層模塼石塔)이 있다.
금성산 고분군이 조영된 탑리리 · 대리리 · 학미리 일대는 원삼국시대의 소국인 조문국(召文國)의 고지로 알려져 있다. 발굴된 고분은 금성산의 기슭에서부터 서북쪽으로 뻗은 낮은 산줄기가 탑리리 북동쪽 약 2㎞ 지점에서 동서로 길게 뻗은 해발 160m에 자리하고 북서쪽으로 이어진 능선상에도 다수 분포되어 있다.
조사된 고분의 봉분은 남북 방향의 장타원형이며, 바닥 부분의 둘레돌 크기로 보아 긴 축은 26m, 짧은 축은 20m, 높이 4.6m 정도이다. 고분은 하나의 봉토 안에 5기의 덧널을 배치한 무덤이다.
고분은 먼저 으뜸덧널을 설치하고 추가장(追加葬)을 하면서 북쪽 둘레돌을 걷어내었다. 여기에 동서 긴 축의 목곽을 ‘T’자 모양으로 3기의 돌덧널을 추가로 축조하였다. 즉 매장 주체부의 형태는 타원형의 분구에 1기의 돌무지덧널무덤 · 돌돌림덧널무덤과 3기의 돌덧널무덤, 1기의 앞트기식돌방무덤이 조영된 오래된 복합무덤이다.
제Ⅰ곽인 앞트기식돌방무덤은 분구의 중앙 밑에 자리하고, 평면은 남북으로 긴 장방형으로 길이 약 3.5m, 너비 1.7m, 높이 약 1.8m이다. 당시 발굴 조사자는 천장 부분에 뚜껑돌이 없고 네 벽을 돌멩이로 쌓았으며 동서 긴 벽과 북쪽 짧은 벽이 수직이고 남쪽 짧은 벽은 바깥쪽으로 기울어져 있어, 주인공을 매장 후에 외부에서 막은 앞트기 부분으로 판단하였다.
그러나 이 묘제는 전형적인 돌돌림덧널무덤 형식이고 긴 벽 쪽에 딸린덧널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매장 주체부는 금동관을 착용한 사람 뼈는 남자이고, 북벽의 두개골은 여성인 순장자(旬葬者)로 판단하였다.
석곽묘인 제Ⅱ · Ⅲ · Ⅳ곽 중 제Ⅱ곽은 동서가 긴 장방형으로 크기는 길이 3.9m, 너비 1.5m, 높이 1.5m이다.
제Ⅲ곽은 길이 3.5m, 너비 약 1.5m, 높이는 중앙에서 약 90㎝이고, 네 벽은 갈색 혈암(頁巖)으로 불규칙하게 2∼3단 쌓아서 축조하였으며, 천정은 나무 뚜껑을 덮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동쪽 피장자는 금동나비모양관식 · 청색유리목걸이 · 금귀걸이 · 금동허리띠 · 고리자루큰칼을 착용하였으나, 서쪽 피장자는 착장 유물이 소략하고 여성일 가능성이 있다.
제Ⅳ곽은 동북쪽으로 긴 장방형이고 길이 3.3m, 너비 1.3m, 높이 약 60㎝이다. 크고 작은 돌을 포개어 불규칙하게 쌓아서 네 벽을 축조하고 천장에는 나무 뚜껑을 덮은 것으로 추정된다.
제Ⅴ곽은 돌무지덧널무덤 · 돌돌림덧널무덤으로 덧널을 안치한 중앙 부분은 썩어 없어져 장방형으로 함몰되어 있고, 흘러내린 돌돌림 상태는 냇돌과 자갈로 둘러싸듯 놓여 있다.
출토된 유물은 Ⅰ곽과 Ⅲ곽의 껴묻거리가 우월하다. 우모형입식(羽毛形立飾)의 금동관 · 금동제관식 · 금귀걸이 · 금드리개 · 은허리띠 · 금동신발 등 화려한 장신구와 각종 철제 무기류, 마구류, 토기류가 출토되었다.
의성탑리고분의 발굴 조사를 통하여 삼국시대 의성 지역의 정치 · 사회 · 문화적인 성격을 일부 확인할 수 있었다. 출토된 유물 중 제Ⅰ곽 출토 도질토기류는 신라토기양식 수용 후 의성양식토기로 변화하여 이후에 안동, 예천, 상주, 소백산맥 이북 지역으로 전파되었다.
그리고 제Ⅰ곽에서 출토된 우모형입식의 금동관은 띠 모양의 테두리 위에 가장자리를 가늘게 자른 후 이를 꼬아서 새의 깃털 모양으로 입식을 세 개 부착하였다. 이러한 형태의 관은 경주의 신라 황남대총(皇南大塚) 남분에서 출토된 은제관식과 비슷하고, 고구려 수도였던 집안(集安)에서 출토되었다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과 매우 흡사한 양식이다.
이러한 결과는 5세기 대 의성은 신라의 변방이면서도 요충으로 역할을 하였지만, 고구려와의 관계도 밀접하였음을 대리리에서 출토된 금동제관장식 유물과 함께 시사해 주는 바가 크다. 또한 이 고분의 피장자는 조문국의 후예로서 최고 수장층(首長層)의 일원이었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