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내종인 ()

목차
고대사
제도
신라 중고기 국왕을 근거리에서 수행한 신료, 관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신라 중고기 국왕을 근거리에서 수행한 신료, 관작.
내용

국왕의 근시직(近侍職)이다. ‘애내종인(哀內從人)’으로 읽는 견해도 있다. 568년(진흥왕 29)에 건립된 황초령·마운령의 신라진흥왕순수비에 의하면 진흥왕을 시종(侍從)하였던 직책으로서, 탁부(喙部)와 사탁부(沙喙部) 출신 대사(大舍) 관등의 신료 가운데 보인다.

그런데 고대 일본 왕의 처소를 ‘내리(內裏)’라고 하는 것으로 보아, ‘이내(裏內)’ 역시 대궐내 왕의 사적인 생활공간으로서의 건물을 가리킨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내’의 종인은 곧 신라국왕의 처소에 근무하는 근시직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성격의 관직으로는 사인(舍人)을 들 수 있다. 이 사인은 대사(大舍)·소사(小舍) 등 하급관등을 가지고 있는 사람으로 보임되기도 하였으나, 왕의 측근신료였던 만큼 요직이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朝鮮金石總覽 상(朝鮮金石總覽 上)』
「마운령 진흥왕순수비의 근시수가인(近侍隨駕人)에 대한 검토」(이도학, 『신라문화』 9, 199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