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권 4책. 목판본. 1956년 안동의 광문사(光文社)에서 간행되었다. 서문은 없고, 권말에 족자(族子) 상호(祥鎬)의 발문이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규장각 도서에 있다.
권1·2에 시 195수, 권3·4는 서(書), 권5에 설(說) 4편, 서(序) 6편, 기(記) 8편, 발(跋) 7편, 상량문 4편, 권6에 축문 6편, 제문 13편, 애사 4편, 뇌문 5편, 광기(壙記) 2편, 권7에 묘갈명 13편, 행장 1편, 권8에 부록으로 가장 9편, 유사·묘지명·묘갈명 등이 수록되어 있다.
시는 저작시기순으로 수록되어 있고, 「유백운동(遊白雲洞)」·「김생굴(金生窟)」·「축융봉(祝融峰)」·「화정문봉한거이십운(和鄭文峰閒居二十韻)」 등이 대표작이다. 서(書)는 홍시응(洪時應)과 이문극(李文克)에게 보낸 것이 가장 많다. 설에서는 「안분설(安分說)」과 「작인설(作人說)」이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