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붕해 ()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신민부 경비대장, 재만한족총연합회 군사위원장, 한국광복군 참모장 등을 역임한 독립운동가.
이칭
공익(公益)
송강(松崗)
이칭
일영(鎰永), 봉기(鳳基)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99년(고종 36)
사망 연도
1950년
본관
덕수(德水 : 지금의 경기도 개풍)
출생지
충청남도 아산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신민부 경비대장, 재만한족총연합회 군사위원장, 한국광복군 참모장 등을 역임한 독립운동가.
개설

본관은 덕수(德水). 일명 일영(鎰永) · 봉기(鳳基). 자는 공익(公益), 호는 송강(松崗). 충청남도 아산 출신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919년 3·1운동에 참가하여 천안에서 일본경찰에게 잡혔다가 탈출하여 만주로 망명하였다.

그 뒤 신흥무관학교(新興武官學校) 7기생으로 졸업하고 다시 한국독립연성대(韓國獨立練成隊)에서 6개월간 교육을 받고, 1920년 청산리전투를 비롯한 여러 전투에서 중대장으로 활약하였다. 자유시를 거쳐 일크스크로 가서 고려혁명군(高麗革命軍)에 관계하다가 자유시참변으로 다시 만주로 돌아왔다.

1922년 여름 연길현 명월구(延吉縣明月溝)에서 김규식(金奎植) · 고평(高平) · 이범석(李範奭) 등이 고려혁명군(高麗革命軍)을 편성할 때 참여하여 동북만주 밀산(密山) · 호림(虎林) 등지에서 독립운동을 방해하는 중국군을 격파하였다.

1925년 영안(寧安)에서 김좌진(金佐鎭)을 중심으로 신민부(新民府)가 조직될 때 참가하여 경비대장을 지냈다. 그 뒤 1929년 재만조선무정부주의자연맹을 조직하여 위원이 되었고, 이어서 무정부주의자연맹과 신민부가 합작하여 재만한족총연합회(在滿韓族總聯合會)를 결성하여, 김좌진을 주석으로 추대하고 군사위원장으로 활약하며 새로운 항일전을 전개하였다.

1930년 김좌진이 공산당원인 김봉환(金奉煥, 일명 一星)의 조종을 받은 박상실(朴尙實, 일명 尙範)에게 피살되자, 치안대를 조직하고 중동선(中東線) 일대를 엄중히 방위하여 공산당의 발호를 방지하고, 중국 치안당국과 연락하여 범인수색에 착수, 해림역(海林驛) 부근의 공산당소굴을 급습하여 김봉환을 체포, 처단하였다(하수인 박상실은 끝내 잡히지 않았음).

1932년 한족총연합회 주하지방(珠河地方) 집행위원장이 되어 지하운동을 전개하여 재만한인들에게 배일사상을 고취하였다. 1944년 9월 한국광복군을 별설할 때 참모장에 임명되었다.

광복 후 한국독립당 중앙감찰위원회 사찰부장이 되었으며, 정부수립 후에는 국군에 입대하여 1949년 제주도병사구사령관을 역임하고 방위군옹진지단 고문관으로 활약하던 중 6·25때 전사하였다.

상훈과 추모

1968년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시야김종진선생전(是也金宗鎭先生傳)』
『대한민국독립유공인물록』(국가보훈처, 1997)
『대한민국독립운동공훈사』(김후경, 광복출판사, 1983)
『독립운동사』5(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1973)
『한국독립사』(김승학, 독립문화사, 1965)
『한국독립운동사』(애국동지원호회, 1956)
집필자
강영철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