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시발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병조참판, 형조판서, 삼남도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양구(養久)
벽오(碧梧), 후영어은(後潁漁隱)
시호
충익(忠翼)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569년(선조 2)
사망 연도
1626년(인조 4)
본관
경주(慶州)
주요 관직
병조좌랑|장악원정|호조참의|형조참판|함경도관찰사|병조참판|형조판서
관련 사건
임진왜란|이괄의 난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병조참판, 형조판서, 삼남도검찰사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양구(養久), 호는 벽오(碧梧) 또는 후영어은(後潁漁隱). 이원(李黿)의 고손이며, 이발(李渤)의 증손으로, 할아버지는 이경윤(李憬胤)이다. 아버지는 진사 이대건(李大建)이며, 어머니는 안동 김씨로 김도(金燾)의 딸이다. 이덕윤(李德胤)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6세에 아버지가 죽고, 1589년(선조 22) 증광 문과에 병과로 급제해 승문원에 등용되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낙상지(駱尙志)가 인솔하는 명나라 군대가 경주에 주둔했을 때 접반관(接伴官)으로 임명되었고, 도체찰사(都體察使) 유성룡(柳成龍)의 종사관으로 활약하였다. 그 뒤 전적 · 정언 · 사서를 역임하였다.

1594년 병조좌랑에 재직 중 명나라 유격장(遊擊將) 진운홍(陳雲鴻)을 따라 적장 고니시[小西行長]의 군영을 방문해 정탐의 임무를 수행하였다. 이듬 해 병조정랑으로 승진해 순무어사(巡撫御史)를 겸임하였다. 1596년 이몽학(李夢鶴)이 홍산(鴻山)에서 일으킨 반란을 토벌하는 데 공을 세워 난이 평정된 뒤 장악원정(掌樂院正)으로 승진하였다.

그 해 겨울 찬획사(贊劃使)로 임명되어 충주의 덕주산성(德周山城)을 쌓고, 또 조령에 방책(防柵)을 설치하였다. 1597년 정유재란 때에는 분조(分朝)의 호조참의가 되어 명나라 원병의 군량미 보급을 관장하였다.

1602년 경상도관찰사로 임명되어 4년간 선정을 베풀다가 1604년 형조참판을 지냈다. 이듬 해 함경도관찰사가 되어 포루(砲樓)와 성곽을 수축하고 그 해 가을에 예조와 병조의 참판을 역임하였다. 폐모론이 일어나자 이에 반대했다가 양사의 탄핵을 받아 사직하였다. 1619년(광해군 11) 광해군의 특명으로 오도참획사로 임명되어 다음 해 평안도에 가서 민폐를 크게 고치고 둔전(屯田)을 설치해 군량을 충족하게 하였다.

이 때 고향의 친척인 옥강만호(玉江萬戶) 변일(邊溢)이 청병(淸兵)의 침입을 막지 않고 성을 버리고 도망해 사형당한 사건이 있었다. 이 때문에 광해군이 크게 노해 이시발에게 책임을 묻자 신병을 핑계로 사직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이 일어나자 한성부판윤을 거쳐 형조판서에 올랐으며, 이듬 해 이괄(李适)의 난 때 체찰부사(體察副使)로 난의 수습에 공을 세웠다. 그 뒤 삼남도검찰사(三南道檢察使)가 되어 남한산성의 역사(役事)를 감독하였다.

저서로 『주변록(籌邊錄)』 · 『벽오유교』가 있다.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시호는 충익(忠翼)이다.

참고문헌

『선조실록(宣祖實錄)』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인조실록(仁祖實錄)』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국조방목(國朝榜目)』
『송자대전(宋子大全)』
『벽오유고(碧梧遺稿)』
『해동명신록(海東名臣錄)』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