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자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전기 홍문관 정자 · 저작 · 박사 등을 지낸 문신.
이칭
수덕(樹德)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466년(세조 12)
사망 연도
1499년(연산군 5)
본관
광주(廣州)
주요 관직
홍문관 정자|홍문관 저작|홍문관 박사|함창현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이자는 조선 전기 홍문관 정자·저작·박사 등을 지낸 문신이다. 1494년(성종 25)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연산군 때 홍문관 정자·저작·박사 등을 지냈다. 연산군이 즉위한 뒤 폭정을 자행하려는 기미가 보이자 경연에서 강력히 간언하다가 외직인 함창현감(咸昌縣監)으로 보임되었다. 거기서 여씨향약(呂氏鄕約)[^1]을 보급해 백성을 교화하고 풍속을 개선하였다고 한다.

정의
조선 전기 홍문관 정자 · 저작 · 박사 등을 지낸 문신.
가계 및 인적 사항

이자(李滋)의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수덕(樹德)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우의정 이인손(李仁孫), 할아버지는 형조판서 이극감(李克堪)이고, 아버지는 관찰사 이세우(李世佑), 어머니는 안동권씨는 판관 권질(權耋)의 딸이다. 부인 광주안씨(廣州安氏)는 사간 안팽명(安彭命)의 딸이다. 슬하에 아들 이약수(李若水) · 이약빙(李若氷) · 이약해(李若海)와 1녀를 두었다.

주요 활동

1494년(성종 25) 별시 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연산군 때 홍문관 정자 · 저작 · 박사 등을 지냈다. 연산군이 즉위한 뒤 폭정을 자행하려는 기미가 보이자 경연에서 강력히 간언하다가 외직인 함창현감(咸昌縣監)으로 보임되었다. 거기서 여씨향약(呂氏鄕約)을 보급해 백성을 교화하고 풍속을 개선하였다고 한다.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가 일어나자 자신이 반드시 처형될 것으로 생각해 음주로 세월을 보내다가 이듬해 33세의 젊은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성현(成俔)『용재총화((慵齋叢話)』에서 “우리나라 가문 가운데 광주이씨만큼 번성한 집안이 없다.”라고 평가할 만큼 많은 인물이 광주이씨 집안에서 배출되었다. 특히, 이자의 할아버지인 이극감과 숙부인 이극배(李克培, 영의정), 이극감(李克堪, 영중추), 이극돈(李克墩, 좌찬성), 이극균(李克均, 좌의정)은 모두 과거에 급제하고 고관을 역임하였다.

이자의 세 아들 모두 조광조(趙光祖)와 친밀하였고, 기묘사림의 일원으로 평가된다. 이런 측면은 이른바 조선시대 ' 훈구파'와 ' 사림파'의 연속성을 보여주는 수많은 증거 가운데 하나이다.

참고문헌

원전

『국조방목(國朝榜目)』
『급고유고(汲古遺稿)』
『눌재집(訥齋集)』
『성종실록(成宗實錄)』
『연산군일기(燕山君日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