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판승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제도
수행에만 전념하는 승려.
이칭
이칭
수행승, 공부승
내용 요약

이판승은 참선·염불·간경 등 수행에만 전념하는 승려를 말한다. 승려들은 주로 참선・간경・염불로 수도를 하였던 것인데 참선・염불하는 승려를 수좌(首座)라 하고 간경하는 승려를 주로 강사(講師)라 불렀다. 이와는 달리 사찰을 운영하고 제반 사무를 맡은 승려를 사판승이라 하며, 주지는 대표적인 사판승의 소임이다.

목차
정의
수행에만 전념하는 승려.
내용

사판승(事判僧)과 대응하여 쓰인다. 주2 · 주3의 제도는 억불정책에 의하여 승려들이 천인 대우를 받았던 조선 후기에 생겨났다. 당시의 승려들은 종이를 만들거나 기름을 짜는 등 잡역에 종사하였고, 이에 견디지 못하는 사찰은 주10가 되는 경우가 적지 않았다. 이러는 사이에 승려 간에는 이판승・사판승의 두 가지 구별이 생겨났다. 승려들은 주로 참선・간경[^5]・ 염불로 수도를 하였던 것인데 참선・염불하는 승려를 수좌(首座)라 하고 간경하는 승려를 주로 강사(講師)라 불렀다. 이들 수좌와 강사는 가급적이면 시끄러움을 피하여 산중의 주7으로 가서 수행에만 전념하였다. 그러므로 자연 사찰을 운영하고 제반 사무를 맡아 할 승려층이 생겨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수도하는 공부승(工夫僧)을 이판승이라 하고 사무를 맡아보는 사무승(事務僧)을 사판승이라 하였다.

이판승이 공부에 전념하여 불교의 주8을 끊이지 않게 한 공덕이 크지만, 사찰의 운영을 멀리하고 은둔하였기에 불교의 외형적인 발전에 공헌함은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당시 유생과 위정자의 횡포에 짓눌리면서도 불법(佛法)이 끊이지 않고 발전할 수 있었던 것은 이판승의 수행 덕분이었다. 잡무를 멀리하고 깊숙이 은둔하며 지냈던 이판승들이지만, 그들의 공부에 의하여 배척받던 조선시대의 교단이 말기까지 조도(祖道:조사의 가르침)의 명맥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판승과 사판승은 그 어느 한 쪽이라도 없어서는 안 되는 상호 관계를 갖고 있다. 이판승이 없었다면 부처님의 지혜광명이 이루어질 수 없었다. 사판승이 없었다면 주9이 존재할 수 없었다. 그래서 청허(淸虛)・부휴(浮休)・벽암(碧巖)・백곡(百谷) 스님 등 대사들이 이판과 사판을 주1 요즘도 선지식으로 불리는 스님들 중에는 이판과 사판을 병행한 승려들이 많다.

이판승과 사판승에서 유래된 말이 이판사판이다. ‘이판사판’은 일이 어떻게 할 수 없는 지경에 몰렸을 때 자주 쓰이는 말이다. 불교를 탄압하고 승려를 천시했던 조선시대, 승려가 되는 것은 세상(속세)과 이별하는 것이었다. 마지막으로 선택하는 것이 출가인데, 승려가 되려면 이판승과 사판승 가운데 하나를 택해야 하므로 궁지에 몰린 상황을 가리켜 ‘이판사판’으로 표현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참고문헌

단행본

이능화, 『조선불교통사(朝鮮佛敎通史)』(신문관, 1918)
조기룡, 『종무행정론』(동국대학교 출판부, 2006)

인터넷 자료

불교신문(http://www.ibulgyo.com)
주석
주1

理事二者 闕一不可 非理判僧 則不能以續佛慧命 非事判僧 則不能以護持伽藍也 以昔言之 淸虛 浮休 碧巖 百谷諸大師 皆理判兼事判者也: 이능화, 『조선불교통사(경인출판사, 1969), p.930.

주2

속세를 떠나 수도에 전심하는 일. 우리말샘

주3

절의 모든 재물과 사무를 맡아 처리함. 우리말샘

주5

불경을 소리 내지 않고 속으로 읽음. 우리말샘

주7

사찰과 암자를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8

지혜의 생명이라는 뜻으로, 법신은 지혜가 수명이어서 지혜의 명이 다하면 법신의 몸을 잃음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9

승려가 살면서 불도를 닦는 곳. 우리말샘

주10

폐하여져 승려가 없는 절. 우리말샘

집필자
조기룡(동국대학교 교수, 응용불교학(현대한국불교 교단관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