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어 ()

목차
관련 정보
민속·인류
개념
상반신은 사람과 같고 하반신은 물고기처럼 생겼다고 전해오는 전설상의 동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인어는 상반신은 사람과 같고 하반신은 물고기처럼 생겼다고 전해오는 전설상의 동물이다. 사람과 모습이 비슷하거나 아이 우는 소리와 같아서 인어라고 하기도 한다. 정약전은 『자산어보』에서 인어의 속명을 옥붕어라고 하였다. 이어서 다섯 갈래의 물고기를 인어로 설명했다. 제어나 예어, 역어는 아이 우는 소리 같다고 한다. 교인은 울면 눈물이 구술이 된다고 한다. 또 허리 이하가 물고기인 부인인어의 이야기를 소개하였다. 서남해에는 상광어, 옥붕어 두 종류의 인어가 있다. 옥붕어는 사람과 비슷한 점이 많아 뱃사람들이 잡는 것을 꺼린다.

목차
정의
상반신은 사람과 같고 하반신은 물고기처럼 생겼다고 전해오는 전설상의 동물.
내용

강이나 호수 또는 바다의 동물 중에 모습이 사람과 비슷하거나 내는 소리가 아이 우는 소리와 같다고 하여 인어라고 불린 것들도 있었다. 중국의 이시진(李時珍)은 주1에서 제어(䱱魚)를 인어 · 해아어(孩兒魚)라고도 하고, 예어(鯢魚)를 인어 · 납어(魶魚) · 탑어(鰨魚)라고도 한다고 해설한 다음 기미(氣味)와 주치(主治)도 적었다.

정약전(丁若銓)『자산어보(玆山魚譜)』에서 인어 항목을 두어 “인어는 속명이 옥붕어(玉朋魚)이고 모양이 사람을 닮았다.”라고 한 다음, 살피건대 인어의 설에는 대체로 다섯 갈래가 있다고 하고 여러 가지 문헌을 인용하면서 다음과 같이 상세하게 해설하였다.

① 제어:강이나 호수에 살며 모양과 색이 모두 점외(鮎鮠:메기를 말함)와 같고 그 볼(아가미 뚜껑을 말함)이 삐걱거리는 소리가 아이 우는 소리와 같기 때문에 인어라고 한다.

② 예어:메기를 닮았고 네발이 있으며 앞은 원숭이를 닮았고, 뒤는 개를 닮았으며 소리가 어린아이 우는 소리와 같고 큰 놈은 몸길이가 8, 9자가 된다. 산골 물에서 살며 모양이나 소리가 모두 제어와 같지만 이와는 달리 나무 위로 올라갈 수 있다.

③ 역어(○):모양이 메기와 같고 네 발이 있으며 꼬리가 길고, 소리는 어린아이를 닮았으며 대나무에 잘 오른다. 또한 역어는 곧 바닷속의 인어로서 귀 · 입 · 코 · 손 · 손톱 · 머리를 모두 가지고 있으며, 살갗이 희기는 구슬과 같고, 비늘이 없고, 가는 털이 있다. 오색의 머리털이 말꼬리와 같고 길이가 5 · 6자가 되며, 몸의 길이도 5 · 6자가 된다. 바다 가까이 사는 사람이 잡아서 못에서 길렀더니 암수가 교합하는 것이 사람과 다를 바가 없었다.

④ 교인(鮫人):물 속에 있으며 물고기와 같고 주2로 베를 짜는 일을 버리지 않으며, 눈이 있어 잘 우는데 울면 눈물이 곧 구슬이 된다.

⑤ 부인인어(婦人人魚):사중옥(謝仲玉)은 부인이 물 속에 드나드는 것을 보았는데 허리 이하는 모두 물고기였으니 곧 인어였다고 한다. 또 사도(査道)가 고려에 사자로 갔을 때 바닷속에서 한 부인을 보았는데 붉은 치마를 입고 양어깨를 내놓고 쪽진 머리카락은 엉클어져 있었고 볼 뒤에는 붉은 갈기가 약간 있었다. 명하여 물 속으로 돌려보내 살려주자 손을 들어 절하고 감사하게 생각하면서 물 속으로 들어갔다고 한다. 이 두 부인설(婦人說)은 앞에서 말한 제어 · 예어 · 역어 · 교인과는 다른 것이다.

또한, 정약전은 “지금 서남해에 두 종류의 인어가 있는데 그 하나는 상광어(尙光魚)이며 모양이 사람을 닮아 두 개의 젖을 가진다. 본초(本草)에서 말하는 해돈어(海豚魚)이다. 다른 하나는 옥붕어이며 길이가 8자나 되며 몸은 보통 사람과 같고 머리는 어린아이와 같으며, 턱수염과 머리카락은 치렁치렁하게 아래로 드리워졌고, 하체는 암수의 구별이 있어 사람의 남녀와 서로 매우 닮았다. 뱃사람들은 이것을 몹시 꺼려 혹시 어망에 들어오면 불길하다 하여 버린다. 이것은 틀림없이 사도가 본 것과 같은 종류일 것이다.”라고 하였다.

여기에서 말한 상광어는 돌고래류가 틀림없지만 옥붕어는 물범인 듯하나 확실하지 않다. 이 두 가지는 포유류인데 옛사람들은 어류로 오인하였다. 우리나라 해역에는 없지만, 바다 소목의 포유동물인 주3이나 주4가 있는 지방에서는 이것들을 보고 인어라 하였을 것이다.

참고문헌

『본초강목(本草綱目)』
『자산어보(玆山魚譜)』
『동물분류학』(김헌수·이창언·노분조, 집현사, 1981)
주석
주1

1590년에 중국 명나라의 이시진(李時珍)이 지은 본초학의 연구서. 종래의 본초학에 관한 책을 정리하여, 약의 올바른 이름을 강(綱)이라 하고 해석한 이름을 목(目)이라 하였다. 약이 되는 흙, 옥(玉), 돌, 초목(草木), 금수(禽獸), 충어(蟲魚) 따위의 1,892종을 7항목으로 분류하고 형상(形狀)과 처방을 적었다. 52권. 우리말샘

주2

삼베, 무명, 명주 따위의 천을 짜는 틀. 우리말샘

주3

듀공과의 바다 포유류. 몸은 3미터 정도이며, 바다소와 비슷하다. 꼬리지느러미는 깊게 팬 반달 모양이고 등지느러미는 없다. 앞발에 발톱이 없고 주둥이에 털이 있으며 피부는 두껍고 주름이 많다. 일 년에 한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아프리카, 홍해, 말레이반도,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말샘

주4

바다솟과의 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몸의 길이는 3미터 정도이며 회색이고 주둥이에 털이 나 있다. 앞다리는 가슴지느러미발이 되어 앞쪽으로 나와 있고 뒷다리는 퇴화하였으며 꼬리지느러미가 있다. 겁이 많고 동작이 둔하다. 초식성 수생 동물로 카리브해바다소, 아프리카바다소, 아마존바다소가 있다.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