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평대군 ()

목차
관련 정보
포천 인평대군 묘 및 신도비 중 인평대군 묘 전경
포천 인평대군 묘 및 신도비 중 인평대군 묘 전경
회화
인물
조선후기 제16대 인조의 셋째 아들인 왕자.
이칭
용함(用涵)
송계(松溪)
시호
충경(忠敬)
이칭
이요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22년(광해군 14)
사망 연도
1658년(효종 9)
본관
전주(全州)
출생지
서울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후기 제16대 인조의 셋째 아들인 왕자.
내용

본관은 전주(全州). 이름은 요(㴭), 자는 용함(用涵), 호는 송계(松溪). 인조의 셋째아들이며 효종의 동생으로, 1628년 7세 때 인평대군(麟坪大君)에 봉해졌다.

1640년 볼모로 심양(瀋陽)에 갔다가 이듬해 돌아온 이후, 1650년부터 네 차례에 걸쳐 사은사(謝恩使)가 되어 청나라에 다녀왔다.

시서화(詩書畫)를 잘하였을 뿐 아니라 제자백가에도 정통하였던 그는, 1645년 소현세자(昭顯世子)를 따라 내조(來朝)하였다가 3년 뒤에 본국으로 돌아간 중국인 화가 맹영광(孟永光)과 가깝게 지내기도 하였다.

현존하는 그의 작품은 희귀한 편으로 서울대학교 박물관 소장의 「산수도」, 홍성하(洪性夏) 소장의 「노승하관도(老僧遐觀圖)」, 정무묵(鄭武默) 소장의 「고백도(古栢圖)」 등이 알려져 있을 뿐이다.

「고백도」는 섬세하고 꼼꼼한 필치로 다루어져 있어 맹영광의 공필법(工筆法)과 상통하는 바 크며, 「산수도」의 다소 거치른 필치 등은 절파풍(浙派風)의 영향을 어느 정도 반영하고 있다.

이러한 작품 이외에 『송계집』·『연행록(燕行錄)』·『산행록(山行錄)』의 저서를 남겼다. 효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시호는 충경(忠敬)이다.

참고문헌

『잠곡유고(潛谷遺稿)』
『한국(韓國)의 미(美) 11 -산수화(山水畵) 상(上)-』(안휘준 감수, 중앙일보사, 1980)
『한국회화대관(韓國繪畵大觀)』(유복렬 편, 문교원, 1969)
『근역서화징(槿域書畵徵)』(오세창, 계명구락부, 192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