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실향교 ()

목차
관련 정보
임실향교 전경
임실향교 전경
유적
국가유산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임실읍에 있는 조선전기 에 창건된 향교. 교육시설.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임실향교대성전(任實鄕校大成殿)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향교
지정기관
전북특별자치도
종목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1984년 04월 01일 지정)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봉황7길 23 (임실읍, 임실향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전북특별자치도 임실군 임실읍에 있는 조선전기 에 창건된 향교. 교육시설.
내용

1413년(태종 13)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配享)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임진왜란 때 일부 소실되었다가 1854년(철종 5)김성근(金性根) 등이 대성전을 중수하고, 1869년(고종 6)원세철(元世澈)이 명륜당을 보수하였다.

그 뒤 1879년에 구연익(具然翼)이 대성전을, 1883년과 1885년에 한기석(韓箕錫)이 각각 서재(西齋)와 동재(東齋)를, 1894년에 민영대(閔泳大)가 교궁(校宮)을 중수하였다. 1907년에는 군내 주민들이 뜻을 모아 전반적인 보수를 하였으며, 1916년 · 1919년 · 1928년 · 1941년 등 여러 차례에 걸쳐 보수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3칸의 대성전, 4칸의 명륜당, 5칸의 동재, 4칸의 서재, 내삼문(內三門) · 외삼문(外三門) 등이 있으며, 대성전에는 5성(五聖), 송조 4현(宋朝四賢), 우리 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대성전은 정면 3칸, 측면 4칸의 맞배지붕에 겹처마로 되어 있으며, 기둥은 두리기둥이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 · 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敎官) 1명이 정원 3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경장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 · 가을에 석전(釋奠:공자에게 지내는 제사)을 봉행하며 초하루 · 보름에 분향하고 있다. 이 향교는 1984년 전라북도 문화재자료(현, 전북특별자치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어 있으며, 전교(典校) 1명과 장의(掌議) 수명이 운영을 담당하고 있다.

소장 전적으로는 판본 47종 209책, 사본 22종 45책이 있다. 이 중 주로 필사본인 『임실향적(任實鄕籍)』 · 『임실향안(任實鄕案)』 · 『임실청금안(任實靑襟案)』 · 『임실통문안(任實通文案)』 · 『향현좌목(鄕縣座目)』 · 『교생구폐절목(校生救弊節目)』 · 『모성계안(慕聖契案)』 등은 이 지방 향토사 연구에 좋은 자료가 된다.

참고문헌

『임실군사(任實郡史)』(임실군, 1977)
『문화유적총람(文化遺蹟總覽)』(문화재관리국, 1977)
『임실향안(任實鄕案)』(1960)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