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군방은 고려시대, 2군6위(二軍六衛)의 정4품 무관직인 장군들의 회의 기구이다. 총 45명의 장군들이 있었다. 상장군 · 대장군들의 합좌 기구인 중방과 대비되며 여기서의 결정 사항을 저지한다고 할 정도로 독자적인 지위를 가졌다. 설치 시기는 무신정권의 설립 이후 출현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조선 초까지 이어져 1400년(정종 2)에 폐지되었으며, 의체를 총괄하는 방주(房主)와 실무를 집행하는 장무관(掌務官)이 있었다. 호군으로 바뀐 뒤에는 호군방으로 불리었다. 지정된 촌락에서 조세를 수취하여 사용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장군은 1,000명으로 구성된 1령(領)의 지휘관으로, 2군 6위의 경군은 45령으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총 45명의 장군들이 있었다. 장군방에는 중방의 반주(班主)처럼 자신들이 뽑은 방주(房主)와 실무를 집행하는 장무관(掌務官)이 있었다. 장군방이 설치된 시기는 명확하지 않으며, 고려 초기부터 있었다고 생각되나 무신정권이 성립된 뒤 자신들의 의지를 관철하기 위하여 중방을 본떠 만들었다고 보기도 한다.
한편 각 무반직마다 자신들의 입장을 대변하는 낭장방(郎將房), 산원방(散員房), 교위방(校尉房) 등도 존재하였다. 중방에서 시행한 정책을 장군방이 저지하고, 장군방이 그렇게 한 것을 낭장방에서 저지할 정도로 각 무관직의 방들이 가지는 독자성과 권한이 강하였다.
장군방을 통한 권한 확대는 무신정권 이후 방수장군(防守將軍) 등이 병마판관(兵馬判官)과 병마부사(兵馬副使) 직을 겸대하는 등의 결과를 가져왔다고 생각된다. 지정된 촌락에 조세를 수취하여 경제적 기반으로 삼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