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미 ()

장미
장미
식물
동식물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관목.
정의
장미과에 속하는 낙엽관목.
개설

장미는 일반적으로 세계의 여러 장미를 원종으로 하여 새롭게 인위적으로 만든 원예 품종을 일컫는다. 장미과 장미속에 속하는 찔레나무는 우리나라의 들장미로 들판에 자생하는 장미의 한 종류이다.

생태

장미꽃은 6~7월에 피는데, 줄기 끝에 한 개 내지 여러 개가 피고 향기가 난다. 꽃은 5장의 꽃받침, 여러 장의 알모양 꽃잎과 수술, 한 개의 암술로 되어 있다.

낙엽성의 키 작은 나무로 줄기와 가지를 뻗으며 예리하고 굵은 가시가 있다. 키는 1∼3m 가량 된다. 잎은 어긋나고 주2이며, 소엽은 주1이고 톱니는 잎의 가장자리에 발달되어 있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인류의 장미 재배 역사는 매우 오래되었다. 이미 서기전 3000년경에 중동지역에서 다마스크 장미가 관상용으로 재배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로마시대에는 장미를 증류해 얻어진 향료가 귀족들의 생활필수품으로 애용되었으며, 『본초강목(本草綱目)』에서는 찔레를 장미라고 하며 담장 벽에 의지해서 자란다고 기술되어 있다.

조선시대 『양화소록(養花小錄)』에서도 장미는 자태가 아리땁고 아담하다고 평하였으며, 가우(佳友)라 부르면서 화목9등품제 중 5등에 놓고 있다.

영실(營實)이라고도 부른 찔레나무는 열매가 이뇨와 해독 작용을 하는 약재로 쓰기도 하였다. 옛날 사람들은 향기가 좋은 장미열매나 꽃잎을 모아 방향제를 만들기도 하였으며 베갯 속에 넣어 두기도 하였다.

또한, 꽃을 증류시켜 만든 화로(花露)를 세안에 이용하기도 하였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봄날에 장미꽃을 따다가 떡을 만들어 기름에 지져 먹기도 했다는 기록이 있다.

현황

장미는 동양에 많은 야생장미속 식물 중 꽃이 큰 수종, 즉 중국산 야생장미속 식물이 유럽으로 건너가 유럽산 야생장미속 식물 사이에 잡종을 만들어내어 육종 되어온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현대 장미는 약간의 품종이 20세기 초에 일본을 거쳐 유입되었고, 1950년 이후에 많은 품종들이 도입되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장미는 일찍부터 관상용으로 재배되어온 것으로 여겨진다. 우리나라의 장미속 식물에는 찔레나무 · 돌가시나무 · 해당화 · 붉은인가목 등이 있는데, 어느 것이든 향기가 좋고 아름다워서 관상용으로 높이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 농가에서 재배되고 있는 신품종의 대부분은 외국 품종을 재배하고 있는 실정이다.

참고문헌

『양화소록(養花小錄)』
『한국식물생태도감』(김종원, 자연과 생태, 2013)
『한국동식물도감 5-식물편』(정태현, 문교부, 1965)
한반도 생물자원포털(www.nibr.go.kr)
주석
주1

달걀과 같은 모양.    우리말샘

주2

잎자루의 양쪽에 여러 개의 작은 잎이 새의 깃 모양처럼 붙어 있는 잎. 가시나무, 고비, 고사리, 아카시아의 잎 따위이다.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3)
집필자
김명철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