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진 정장어 알쓸이터 ( 정장어 알쓸이터)

목차
동물
지명
함경남도 장진군 늪수리에 있는 자치의 산란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함경남도 장진군 늪수리에 있는 자치의 산란장.
내용

북한 천연기념물 제264호. 정장어는 자치의 북한명이다.

연어과에 해당하는 이 물고기는 한국고유종으로 몸 모양은 송어와 비슷하지만 몸 등쪽은 황갈색이며 머리와 등쪽은 흑점이 산재되어 있으며 배쪽은 회백색 혹은 백색이다. 가슴지느러미에는 1쌍의 부지느러미가 있다. 몸길이는 50㎝ 정도에 이르고 체중도 보통 15∼20㎏이다.

자치는 냉수성 어족으로 성질이 사나워 주로 어류와 양서류·파충류 및 물새 등을 잡아먹는다. 겨울에는 호수 등 깊은 곳에서 겨울을 지나다가 수온 4∼5℃로 올라가는 4월 하순부터 강 상류에 오르기 시작하여 5∼6월에 수온 9∼15℃ 조건이 되는 곳에서 산란한다. 암컷 한 마리는 평균 3,500∼5,000개의 알을 낳고, 알의 크기는 5.3∼7.2㎜이며, 수온 7∼13℃ 조건에서는 27∼35일이 지나 부화하고, 그 뒤 2주일이 지나면 호수로 내려간다.

이 물고기는 우리나라 민물고기 가운데 가장 크고, 고기 맛도 아주 좋아서 이용가치가 높다. 이 물고기는 한국 특산종으로 압록강 상류(벽동 이상)·독로강·원주강·장진강 및 갑산 수역에 분포한다.

참고문헌

『북한천연기념물편람』(리성대·리금철, 농업출판사, 1994)
『한국어도보』(정문기, 일지사, 1977)
『조선의 어류』(최여구, 과학원출판사, 196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