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실 ()

목차
관련 정보
가족
개념
선대 봉사를 위해 제사 전에 모여서 목욕재계하고 준비하는 의례용 건물.
이칭
이칭
재사(齋舍), 재궁(齋宮), 분암(墳庵)
내용 요약

재실은 조선시대 선대 봉사를 위한 제사용 건물로서 제사 전에 모여서 목욕재계하고 준비하는 의례용 장소이다. 재사(齋舍)로 부르거나 재궁(齋宮)으로도 불렸으며, 분묘(墳墓)를 수호하는 제사 건물인 경우에는 분암(墳庵)으로도 부른다. 분암은 선대 봉사를 위한 기능에 국한되지만, 재사나 재실 등은 성균관, 향교, 서원 등에서 강당의 앞쪽 좌우에 배치되는 동재(東齋)와 서재(西齋)를 가리키는 용어로도 쓰인다.

목차
정의
선대 봉사를 위해 제사 전에 모여서 목욕재계하고 준비하는 의례용 건물.
내용

당(唐)나라의 『개원례(開元禮)』에 의하면, 재실은 삼대(三代) 이전에는 없었으나 진(秦)나라 때에 무덤 옆에 재실을 짓고 묘제(墓祭)를 드렸던 것을 본받은 한(漢)대에 풍습이 되었다. 당나라 때에는 한식날에 조상의 묘를 돌보는 의식을 하였는데, 주1를 숭상하여 주2에 함부로 접근하지 않고자 남쪽 산문(山門) 밖에서 제사를 지내도록 재실을 마련한 것에서 비롯되었다. 이러한 전통이 송(宋)대에 묘제를 지내는 묘정(墓亭)으로 계승되었으며, 고려와 조선에서는 종묘와 왕릉에 목욕재계하고 제사를 준비하는 재실을 두었고, 조선시대에는 조상의 무덤 근처에 재실을 짓고 묘제를 지내는 관습이 사대부가의 예에서도 더욱 확장되어 보편화되었다.

재실은 이렇듯 묘제와 연관이 되었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선대 봉사를 위한 의례용 공간이었으나, 성균관, 향교, 서원 등에서도 교육과 선현 주3을 했기 때문에 재실을 두었다.

일반적으로 재실은 강당형, 민가형, 요사 활용형, 복합형 건축 유형으로 나눌 수 있으며, 一자형, 二자형, ㄱ자형, □자형, 튼□자형 등의 배치 형식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또한 대체로 묘소 아래에 짓기 때문에 재실 근처에는 선산이나 위토(位土)가 있고, 재실에는 묘지기[墓直] 또는 산지기[山直]가 살면서 묘역을 관리했다.

재실은 선대 봉사를 위한 건물이라는 점에서 사당 혹은 주4와 비슷하지만, 조상의 주5을 모시는 주6를 수호하고 묘제(墓祭)를 준비하는 재사(齋舍)라는 점에서 조상의 주7이 깃드는 신주(神主)를 모시고 직접 제사를 지내는 묘우와 차이가 난다. 또한 1480년에 건립된 안동(安東) 진성이씨가(眞城李氏家)의 재사가 잘 보여주듯이, 유교화가 심화되는 17~18세기까지는 대체로 주8 외에도 불교 승려가 거주하며 재실의 관리와 운영에 도움을 주었다는 점에서도 철저히 유교적으로 관리하는 묘우와는 다르다.

재실은 묘제를 중심으로 하는 의례와 더불어 문중의 재산 관리나 시설 유지 보수 등 문중의 각종 대소사를 논의하는 회의가 열리는 공간으로서 조선시대 가문과 문중을 유지하는 중요한 건물이었으나 유교 문화가 약화된 현대에 와서는 그 기능과 의미가 점차 사라져 가고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이만갑, 『한국농촌사회연구』(다락원, 1981)

논문

김동인, 「조선시대 재실건축 연구」(『보건과학연구소보』 1, 고려대학교 보건과학연구소, 1991)
김동인, 『조선시대 재실건축의 배치와 평면유형에 관한 연구』(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김문택, 「安東 眞城李氏家 齋舍의 건립과 운영」(『조선시대사학보』 27, 조선시대사학회, 2003)
김숙영·홍승재, 「祭禮儀式을 통해 본 齋室의 建築 特性에 관한 硏究: 전라북도 재실을 중심으로」(『대한건축학회학술발표논문집』 25-1, 대한건축학회, 2005)
김숙영·홍승재, 「全北地方 齋舍의 建築 特性에 관한 硏究」(『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4, 대한건축학회, 2006)
유기원, 「경북 영해(寧海) 옥천재사(玉川齋舍)의 건축 특성 및 영향」(『한국주거학회논문집』 23-2, 한국주거학회, 2012)
이정, 『조선시대 재실공간의 경관 및 미적 특성에 관한 연구』(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이정, 「재실공간의 조영특성에 관한 연구 -호서지역과 호남지역의 입지형태와 공간구성을 중심으로-」(『남도문화연구』 20, 남도문화연구소, 2011)
이정, 「조선시대 재실의 형성과 입지특성」(『남도문화연구』 27, 남도문화연구소, 2014)
조중근, 『조선시대 종가건축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조현범, 『안동지역 ㅁ자형 재실의 계획개념과 유형별 성격』(울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한기범, 「조선시대 문중묘역의 실제와 제례문화 − 대전 이사동 은진송씨 묘역의 사례 −」(『한국사상과 문화』 61, 한국사상문화학회, 2012)
주석
주1

‘귀신’을 높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2

뫼가 있는 곳. 우리말샘

주3

나라에서 지내는 제사. 우리말샘

주4

신위를 모신 집. 우리말샘

주5

죽은 지 오래된 송장. 또는 땅속에 묻은 송장. 우리말샘

주6

송장이나 유골을 땅에 묻어 놓은 곳. 흙으로 둥글게 쌓아 올리기도 하고 돌로 평평하게 만들기도 하는데, 대개 묘석을 세워 누구의 것인지 표시한다. 우리말샘

주7

정신과 넋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8

남의 산이나 뫼를 맡아서 돌보는 사람.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