삭망제 ()

목차
관련 정보
가족
의례·행사
삼년상 내내 매달 초하룻날과 보름날마다 신주(神主)에 음식을 올리는 상식(上食)의 상례 의식.
이칭
이칭
삭망전(朔望奠)
의례·행사/의례·세시풍속
시기
매월 초하루와 보름(3년상 중)
내용 요약

삭망제는 삼년상 내내 매달 초하룻날과 보름날마다 신주(神主)에 음식을 올리는 상식(上食)의 상례 의식이다. 초하루에 올리는 삭전(朔奠)과 보름에 올리는 망전(望奠)을 합하여 삭망전(朔望奠)이라고도 한다. 고인을 살아 있을 때처럼 섬긴다는 의미에서 술, 과일, 포 등을 간단하게 올리는 삭망참(朔望參)과는 구분된다.

정의
삼년상 내내 매달 초하룻날과 보름날마다 신주(神主)에 음식을 올리는 상식(上食)의 상례 의식.
내용

삭망제는 달이 가득 찼다가 이지러지는 변화에 따라 슬프게 그리워하는 마음이 절실해지는 양상에 맞추어서 삼년상 내내 매달 초하룻날과 보름날마다 신주(神主)에 음식을 올리는 상식(上食)상례 의식이다. 초하루에 올리는 삭전(朔奠)과 보름에 올리는 망전(望奠)을 합하여 삭망전(朔望奠)이라고도 하며, 상례 의식이라는 점에서 『가례(家禮)』의 통례(通禮) 항목에 보이듯이 초하룻날과 보름날에 고인을 살아 있을 때처럼 섬기는 의미로 술, 과일, 포 등을 간단하게 올리는 삭망참(朔望參)과는 구분된다.

절차와 구성

삭망제는 상례를 치르는 과정에서는 성복(成服) 후부터 삭망전을 시작한다. 보통 메를 왼쪽, 국[羹]을 오른쪽에 진설하고, 살아 있는 동안 모셨던 것처럼 실행하기 위해서 주1이나 강신(降神)의 절차가 없으며, 길례(吉禮)제례가 아니라 흉례(凶禮)인 상례이므로 일반적인 제사처럼 주2, 주3, 주4, 주5, 주6, 주7 등의 예의에 관한 절차를 생략한다. 먼저 제물과 술을 차려 놓고 곡(哭)을 한 다음에 숟가락과 젓가락을 두는 주8와 정저(正箸)의 의절을 행하며, 조상의 혼이 식사를 마칠 때쯤에 숟가락과 젓가락을 거두고 주9를 행한다. 삭망전에는 메와 갱을 진설하므로 아침 상식을 하지 않으며, 삭망전 뒤에는 술과 과일을 남겨 둔다. 상중의 삭망전은 매달 초하루와 보름에 사당에 모신 조상들에게 드리는 주10를 하듯이 하되, 삼년상을 치르는 동안 내내 행한다.

그러나 참례로서의 삭망참과는 달리 상례 중 삭망전은 고기를 포함한 음식을 올리는 점에서 구분된다. 실제로 최순권에 의하면, 『가례(家禮)』에서는 성복을 한 뒤에 초하룻날 올리는 주11에서는 육(肉), 어(魚), 면식(麵食), 미식(米食), 갱(羹), 메[飯] 등을 진설한다고 하여 고기를 포함시켰으며, 『사례편람(四禮便覽)』주12, 주13, 주14까지 추가해서 진설한다고 기록하였다. 또한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 의하면, 삭망전은 주15을 드리는 성대한 전[殷奠]이다. 따라서 삭망참은 희생을 바치는 제사[祭]가 아니라 과일이나 채소, 젓갈과 포 등을 올리는 전(奠)이라는 점에서 상중의 삭망전과는 일정한 차이가 있다.

의의 및 평가

삭망제는 삼년상 중에 매달마다 초하룻날과 보름날에 술, 과일, 포 등을 간단하게 올려서 고인을 살아 있을 때처럼 섬기는 의식이다. 따라서 제례가 아니라 상례에 속하며, 참례로서 주기적으로 행하는 삭망참과는 구별해야 한다.

참고문헌

원전

『가례(家禮)』
『상변통고(常變通攷)』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사례편람(四禮便覽)』

논문

박종천, 「『계암일록』에 나타난 17세기 예안현 사족의 의례생활」(『국학연구』 24, 한국국학진흥원, 2014)

기타 자료

최순권, 「삭망전」(『한국일생의례사전』, 국립민속박물관, 2004)
주석
주1

제사를 지내는 절차의 하나. 강신한 다음에 하는 것으로, 신주 앞에서 절을 한다. 우리말샘

주2

제사를 지내는 절차의 하나. 참신한 다음에 하는 것으로, 첫 술잔을 신위 앞에 올린다. 우리말샘

주3

제사를 지내는 절차의 하나. 초헌한 다음에 하는 것으로, 둘째 술잔을 신위 앞에 올린다. 우리말샘

주4

제사를 지내는 절차의 하나. 아헌한 다음에 하는 것으로, 셋째 잔을 신위 앞에 올린다. 우리말샘

주5

제사를 지내는 절차의 하나. 제주(祭主)가 술을 다 부은 다음 숟가락을 제삿밥 가운데 꽂고 젓가락 끝이 동쪽으로 가게 놓은 다음 재배한다. 우리말샘

주6

제사를 지내는 절차의 하나. 유식 후 제관 이하 전원이 밖으로 나오고 문을 닫는다. 문이 없는 곳이면 불을 조금 낮추어 어둡게 한다. 우리말샘

주7

제사를 지내는 절차의 하나. 합문 후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제관이 세 번 기침 소리를 내고 문을 열고 안으로 들어간다. 국을 물리고 숭늉을 만 뒤 잠시 시립하다가 수저를 거두고 메 뚜껑을 덮는다. 우리말샘

주8

제사 지낼 때 숟가락을 메에 꽂음. 또는 그런 의식. 우리말샘

주9

두 번 절함. 또는 그 절. 우리말샘

주10

예식, 제사, 전쟁 따위에 참여함. 우리말샘

주11

발인 전에 영결을 고하는 제사 의식. 우리말샘

주12

심어 가꾸는 온갖 푸성귀와 나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3

진하지 아니한 간장. 우리말샘

주14

콩과 물이라는 뜻으로, 변변하지 못한 음식을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5

제사를 지낼 때에, 술을 세 번 부어 올림. 또는 그때 쓰는 술잔. 초헌(初獻), 아헌(亞獻), 종헌(終獻)을 이른다.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