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관북리 유적 ( )

목차
관련 정보
부여 관북리 유적 전경
부여 관북리 유적 전경
건축
유적
문화재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사비시대 궁궐터. 사적.
이칭
이칭
전백제왕궁지
국가지정문화재
지정기관
문화재청
종목
사적(2001년 02월 05일 지정)
소재지
충남 부여군 부여읍 관북리 33번지 외
정의
충청남도 부여군 부여읍에 있는 삼국시대 백제의 사비시대 궁궐터. 사적.
개설

2001년 2월 5일 충청남도 기념물에서 사적으로 변경되었다. 백제의 마지막 도읍지였던 부여의 사비시대(泗沘時代) 왕궁터로, 성왕에서 의자왕까지 6대에 걸쳐 123년간 나라를 다스렸던 곳이다. 또한 이곳은 조선시대 부여현의 관아(官衙)가 있었던 곳으로, 주변에는 백제의 유적과 유물이 산재하여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1982년부터 1992년까지 충남대학교박물관이 발굴․조사를 한 결과 백제시대 연못 및 배수로 유적, 도로 유적, 건물터 기단 및 석축시설, 공방(工房)터 등이 발견되어 왕궁터로서의 입지를 더욱 굳히게 되었다.

내용

왕궁터의 연못은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옛 국립부여박물관) 앞 광장에서 발견되었는데, 호안(護岸)은 막돌을 이용하여 4∼5단 높이로 쌓아올렸다. 동서가 긴 장방형으로, 규모는 남북 길이 6m, 깊이 1m 내외의 크기이며, 동서 길이는 7m가량 조사가 이루어졌다.

연못 안의 퇴적토는 크게 3개층으로 구분되는데, 최하층은 황갈색토층으로 목간(木簡), 금동제귀걸이, 기와 및 토기편이, 중간층은 흑회색점질토층으로 벼루, 등잔, 바구니 등이, 최상층에서는 개원통보(開元通寶), 철제창, 철제화살촉 등이 발견되었다.

연못에 인접한 동쪽 지역에서는 남북과 동서로 교차된 도로망 유적의 일부가 확인되었다. 남북 도로는 연못 동쪽 30m 지점을 기점으로 개설되어 있는데, 너비 10.9m, 남북 길이는 약 40m가 확인되었다.

도로의 가장자리에는 배수로 시설이 있는데, 너비 45㎝ 간격으로 두께 5㎝ 정도의 판자를 양단에 세워 만들었으며, 서편 도랑의 경우 마지막 시기에는 막돌을 이용하여 너비 20㎝ 정도의 배수로로 좁혀 만들었음이 확인되었다. 동서 도로는 너비가 3.9m로서 가장자리에는 역시 배수로시설이 있는데, 내부는 암수키와가 인위적으로 채워져 있었다.

도로의 교차지점에는 잘 다듬어진 화강암을 이용하여 암거(暗渠)시설이 만들어져 있었는데, 너비 120㎝, 길이 130㎝의 화강암 판돌 3매를 남북방향으로 이어서 깔아 놓았으며, 그 총 길이는 동서 도로의 너비와 같았다. 한편 남북 도로는 부여 중심에 있는 정림사(定林寺)의 중앙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보인다.

건물터 기단과 석축시설은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동편에 인접한 곳에서 발견되었다. 건물터 기단은 기와를 쌓아 만든 와적기단(瓦積基壇)이었고, 석축시설은 그 높이가 80㎝에 이르는 것으로 왕궁의 북쪽 한계선을 밝혀주는 자료로 생각되는데, 문화재연구소 안의 뜰로 계속하여 이어진다.

석축시설의 서쪽에서는 석축으로 된 조그마한 샘이 발견되었다. 와적기단 건물터와 석축시설 사이에는 도로와 배수로가 연결되어 있었다.

건물터 기단과 배수로 내부에서는 토기 표면에 얼굴무늬가 있는 것〔人面文土器〕, 토기의 태토(胎土)가 매우 정선된 완형토기들, ‘北舍(북사)’명이 있는 항아리, 연꽃무늬수막새, 동으로 만든 숟가락과 철제품이 발견되었다. 얼굴무늬가 있는 토기편은 백제복식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특히 완형토기는 규격에 따른 제품생산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것이며, 표면에 ‘七(칠), 八(팔)’ 등의 숫자가 오목새김된 것도 있다.

공방터는 남북 도로 유적에서 동편으로 약 70m 떨어진 곳에서 발견되었는데, 동서가 긴 장방형 움〔竪穴〕내부에 노(爐)시설이 있었던 곳과 가로로 된 손잡이가 상하에 각각 4개씩 부착된 토관을 이용하여 만든 집수구시설이 있었다. 움 내부에서는 철제편들과 석제추가 발견되었다.

의의와 평가

발굴된 유적과 출토된 유물은 인공으로 성토된 층 위에서 발견되었으며,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일정한 규칙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백제가 도시계획에 따라 도성 안의 시가지를 정비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참고문헌

『부여 관북리백제유적 발굴보고』4(문화재청,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09)
『부여 관북리백제유적 발굴보고』3(문화재청,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09)
『부여관북리백제유적발굴보고』Ⅱ(충남대학교박물관, 1999)
『부여관북리백제유적발굴보고』Ⅰ(충남대학교박물관, 1985)
문화재청(www.cha.go.kr)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한동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