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홍유후 설총 묘 ( )

목차
관련 정보
경주 전 홍유후 설총 묘 정면
경주 전 홍유후 설총 묘 정면
고대사
유적
국가유산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학자 설총의 것으로 전해오는 무덤. 원형봉토분.
시도자연유산
지정 명칭
전홍유후설총묘(傳弘儒侯薛聰墓)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기타
지정기관
경상북도
종목
경상북도 시도기념물(1999년 03월 11일 지정)
소재지
경북 경주시 보문동 423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남북국시대 통일신라의 학자 설총의 것으로 전해오는 무덤. 원형봉토분.
내용

1999년 경상북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지정면적 1,168㎡이며, 원형봉 토분이다. 설총의 아버지는 원효(元曉)이고, 어머니는 요석공주(瑤石公主)이다.

신분은 육두품 출신으로 추측되며, 관직은 한림(翰林)에 이르렀다. 설총은 경사(經史)에 박학하였고, 이두(吏讀)의 정리에 크게 이바지하였으며, 「화왕계(花王戒)」를 지었다.

뒷날 그의 학문적 업적이 인정되어 고려시대인 1022년(현종 13)에 홍유후(弘儒侯)라는 시호를 추증(나라에 공로가 있는 벼슬아치가 죽은 뒤 그 관위를 높여줌)받았고 문묘(文廟)에 최치원(崔致遠)과 함께 배향되었으며, 또 조선 중기인 1623년(광해군 원년)에 경주서악서원(西岳書院)에 제향되었다. 한편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는 설총을 경주 설씨의 시조로 기록되어 있다.

설총의 무덤에 대해서는 신라 및 고려시대에 만들어진 자료에서는 확인할 수 없지만, 신라 당시의 형편을 고려해보면 경주에 있었을 개연성이 높다. 명활산 동쪽 아래에 있는 이 분묘는 족보에는 “묘월토산자좌(墓月土山子坐)”라는 기록에 비추어 산의 명칭에서 차이가 있지만 경주 단석산을 월생산(月生山)으로 부른 예가 있음으로 보아 명활산을 월토산으로 불렀을 가능성도 있다.

현재 명활산 동쪽 능선 아래에는 마을이 있고 인근에 10여 호의 가옥이 있다. 원래는 산록이었으나 개간이 이루어진 현재는 주위가 전답이다.

분묘의 둘레에는 아무런 장식이 없고 경주 및 순창(淳昌) 설씨 후손들에 의해 상석과 묘비가 만들어졌으며 외곽에 철책이 둘러 있다. 호석(능원에 세우는 범모양의 돌)은 흙 속에 묻혀져 있으나 일부의 흔적은 보이고 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경주읍지(慶州邑誌)』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경주시북부지역지표조사보고서(慶州市北部地域地表調査報告書)』2(문화재관리국, 1997)
『문화유적총람(文化遺蹟總覽)』(문화재관리국, 1961)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