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묵당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 후기의 학자, 이성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76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 후기의 학자, 이성조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776년에 간행한 시문집.
내용

8권 3책. 활자본. 1776년(영조 52)에 간행되었고, 권두에 정실(鄭宲)의 서문이 있다. 규장각 도서, 국립중앙도서관, 한국학중앙연구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은 사(辭) 1편, 고시 72수, 권2∼5는 율시 470여 수, 권6은 소(疏) 7편, 계(啓) 6편, 권7은 기(記) 9편, 설(說) 5편, 서(序) 2편, 제발(題跋) 10편, 권8은 잠(箴)·명(銘)·찬(贊)·상량문 각 1편, 제문 4편, 묘표 1편, 부록으로 치제문·묘표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시는 율시가 가장 많은데, 「부귀(賦歸)」 65운, 「백석유거(白石幽居)」 42운, 「사회(寫懷)」 30운, 「정죽서옹(呈竹西翁)」 21운은 모두 장편의 대작이다. 또, 육언율시 중 「독중용(讀中庸)」·「독삼학사전(讀三學士傳)」에서는 그의 학문적 깊이를 엿볼 수 있다.

고시에서는 「차이백고풍(次李白古風)」 59수가 대표적이다. 기에서는 「아국강원기(我國江源記)」·「탐라기(耽羅記)」·「왜국기(倭國記)」·「요동기(遼東記)」가 역사공부에 참고자료가 되며, 잠에서는 「여규팔잠(女規八箴)」·「권학잠(勸學箴)」이 가정교육의 좋은 자료이다.

한편, 사의 「차도잠귀거래사(次陶潛歸去來辭)」는 도잠(陶潛)의 「귀거래사」를 방불하게 하는 역작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