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방 ()

목차
관련 정보
삽교천 방조제
삽교천 방조제
산업
개념
물이 넘쳐 흐르는 것을 막거나 물을 저장하기 위하여 흙이나 돌, 콘크리트 등으로 막아 쌓은 구조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물이 넘쳐 흐르는 것을 막거나 물을 저장하기 위하여 흙이나 돌, 콘크리트 등으로 막아 쌓은 구조물.
내용

제방의 뜻은 어느 경우이든 물의 자연적(순리적) 유통을 막기 위한 인공적 시설을 의미하며, 그 내용은 저수(貯水)를 위한 제체(堤體)의 뜻과 방수(防水)를 위한 제체의 뜻 등 두 가지 의미를 가지고 있다.

제방의 뜻이 저수를 목적으로 쓰여진 최초의 기록은 531년(법흥왕 18) “유사에게 명하여 제방을 보수하였다(命有司修理堤防).”는 ≪삼국사기≫의 기록에서 찾아볼 수 있다. 810년(헌덕왕 2) “왕이 친히 신궁에 제사하고 담당관리를 보내어 국내의 제방을 보수하였다(王親祀神宮發使修葺國內堤防).”라는 ≪삼국사기≫의 기록에서 재확인할 수 있다. 330년에 축조된 벽골제(碧骨堤)가 수도작을 위한 저수목적으로 시설되었고, 이 벽골제의 제(堤)자가 제방의 제(堤)자와 같은 것은 제방이 저수지를 뜻함을 쉽게 추정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

그렇기 때문에 벽골제 이후 시제(矢堤)를 비롯하여 남천제(南川堤)·눌제(訥堤)·공골제(空骨堤)·중방제(重房堤)·축만제(祝萬堤)·혜정제(惠政堤)·청제(菁堤) 등이 모두 저수지이면서 제방을 뜻하는 ‘堤’자를 끝에 붙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제방의 뜻은 이 경우 제언(堤堰)의 뜻과 같게 풀이할 수 있다. 1909년 우리 나라의 대소 제언수는 모두 2,781개였고, 몽리면적(蒙利面積)은 7,980㏊로서 1제언당 평균 몽리면적은 불과 2.9㏊ 미만의 소규모 저수지였다.

다음으로 방수를 위한 제방의 뜻은 바다의 소금기 있는 물을 막는 간척지방조제(干拓地防潮堤)의 뜻과 내륙지의 홍수나 침수로 인한 피해를 막고자 제방을 시설한 두 가지 뜻이 포함되고 있다. 1255년(고종 42)에 “3품 이하의 문무관과 권무(權務) 이상의 관리에게 명하여 장정(丁夫)들을 차출하여 제포(梯浦)와 와포(瓦浦)에 방축을 쌓아 좌둔전(左屯田)을 만들고, 이포(狸浦)와 초포(草浦)에는 우둔전(右屯田)을 만들었다.”는 기록이 있다.

이 기록과 “위도(葦島)에 평탄하고 경작할 수 있는 십여리의 땅이 있으나 조수(潮水)의 환(患)이 있어 갈지 못하더니, 김방경(金方慶)이 방조제(防潮堤)를 쌓아 곡식을 파종할 수 있었다.”는 ≪고려사≫의 기록으로 보아 간척이 가능한 갯땅에 방조제를 쌓았다는 것은 제방의 뜻이 방조제도 의미함을 알 수 있다.

다음 침수방제를 위한 제방은 <하천관리법 河川管理法>에 의한 일반적인 하천의 제방을 뜻한다. 우리 나라는 우기(雨期)인 6∼8월에 폭우가 쏟아질 때 대소 하천이 범람하여 농경지를 유실 또는 매몰하는 수재를 막기 위하여 축조하는 시설을 제방이라고 한다. 따라서 제방은 저수지의 제체, 방조제의 제체, 대소 하천의 제체 등을 총칭하는 것으로 그 시공법은 경우에 따라 다르다.

그러나 공통되는 것은 흙·석재·콘크리트 등을 주재료로 하여 축조하되 그 원리는 저수량, 범람시의 수압, 파도의 높이와 바닷물의 압력 등을 감안하여 크기와 저변의 넓이, 제정(堤頂)의 높이 등을 적절히 조절하여 축조한다.

참고문헌

『이조수리사연구(李朝水利史硏究)』(이광린, 한국연구원, 1961)
『농림수산고문헌비요(農林水産古文獻備要)』(김영진,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2)
『한국농업기술사』(한국농업기술사발간위원회, 1983)
관련 미디어 (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