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산향교 ()

목차
관련 정보
안성 죽산향교 외삼문
안성 죽산향교 외삼문
유적
국가유산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에 있는 조선전기에 창건된 향교. 교육시설.
시도문화유산
지정 명칭
죽산향교(竹山鄕校)
분류
유적건조물/교육문화/교육기관/향교
지정기관
경기도
종목
경기도 문화유산자료(1983년 09월 19일 지정)
소재지
경기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 314번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에 있는 조선전기에 창건된 향교. 교육시설.
내용

1533년(중종 28)에 현유(賢儒)의 위패를 봉안,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그 밖에 자세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으며, 1972년에 담장을 신축하였고, 1989년에 외삼문을 복원하였다. 창건 후 원상의 변상이 많아 부속 건물에도 근대식 가공 흔적이 많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대성전, 정면 3칸, 측면 2칸의 명륜당, 동재(東齋) · 서재(西齋) · 내삼문(內三門)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五聖), 10철(十哲), 송조6현(宋朝六賢), 우리 나라 18현(十八賢)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건축형태는 터의 아래쪽에 명륜당과 교직사, 위쪽에 동재 · 서재를 둔 전학후묘(前學後墓)의 형태이다. 동재 · 서재는 정면 3칸, 측면 1칸인 민도리 맞배집이고, 대성전과 명륜당은 익공 끝에 연봉 장식이 되어있다. 창건 당시 대성전과 동무 · 서무가 갖추어진 큰 규모의 향교였다. 그러나 후대에 와서 강학의 기능이 축소되면서 명륜당의 규모가 작아졌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 · 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 1명이 정원 3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조선 후기 이래 향교는 교육 기능이 쇠퇴하고 대신 선현에 대한 제향을 통한 교화 기능을 주로 담당하였다. 봄 · 가을에 석전(釋奠)을 봉행(奉行)하며 초하루 · 보름에 분향을 하고 있다.

1983년 경기도 문화재자료(현, 문화유산자료)로 지정되었으며, 향교의 운영은 전교(典校) 1명과 장의(掌議) 수명이 담당하고 있다.

참고문헌

『태학지』
『문화유적총람』(문화재관리국, 1977)
『우리고장의 문화재총람』(경기도, 1980)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