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황탕 ()

목차
의약학
개념
소양인 체질을 가진 사람의 종창 · 옹저를 치료하는 데 사용하는 처방.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소양인 체질을 가진 사람의 종창 · 옹저를 치료하는 데 사용하는 처방.
내용

이 처방은 명나라 때의 『만병회춘(萬病回春)』에 수록되어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동의보감』·『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에 수재되어 있다.

종창·옹저는 세균에 의하여 염증으로 생긴 화농성질환이니 근본 치료로는 외과적 치료도 중요하지만, 곪기 전에는 저항력을 일으키고 안으로 독소를 없애는 탁리소독(托裏消毒) 방법이 가장 중요하다.

처방의 구성은 생지황(生地黃)·목통(木通) 각 8g, 활석·적복령·산치자(山梔子)·우방자(牛蒡子)·형개(荊芥)·방풍(防風) 각 4g을 달여서 복용하게 되어 있다. 처방의 전체적 내용을 살펴보면 청혈(淸血)·해독(解毒)·소염(消炎)·이뇨(利尿) 작용을 하므로 효과가 있다.

참고문헌

『동의보감(東醫寶鑑)』
『동의수세보원(東醫壽世保元)』
『사상의학원론(四象醫學原論)』(홍순용·이을호, 행림출판사, 197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