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채식 ()

목차
관련 정보
대보름 나물
대보름 나물
식생활
물품
고사리 · 호박고지 · 오이고지 · 가지고지 · 시래기 등 햇볕에 말린 갖은 나물을 물에 잘 우려서 삶아 무친 음식.
목차
정의
고사리 · 호박고지 · 오이고지 · 가지고지 · 시래기 등 햇볕에 말린 갖은 나물을 물에 잘 우려서 삶아 무친 음식.
내용

조선시대의 세시풍속을 기록한 『동국세시기』에서도 “박나물·버섯 등의 말린 것과 대두황권(大頭黃卷 : 콩나물순을 말린 것)·순무·무 등을 묵혀둔다.

이것을 진채(陳菜 : 묵은나물)라 한다. 이것들을 반드시 이날 나물로 무쳐 먹는다. 대체로 외꼭지·가지고지·시래기 등도 모두 버리지 않고 말려두었다가 삶아서 먹는다. 이것들을 먹으면 더위를 먹지 않는다고 한다.”며 대보름날 묵은나물을 먹는 풍속을 설명하였다.

지역에 따라서는 묵은나물을 9가지 이상 만들어 먹으면 한해 동안 탈없이 지나게 된다는 속신도 있다. 묵은나물은 봄철에 미리 산에 나는 산나물을 뜯어다 말려 갈무리를 해두었다가 쓰는데 주로 취·개암취·까막취·산미역취 등과 같은 취나물 종류와 굴싸리·오야지·삿갓나물·고추나물 등이 이용된다.

또 가지나 오이, 호박과 같은 채소를 말린 것, 시래기 등도 많이 쓰이고 있다. 묵은나물은 아니지만 콩나물·숙주나물·무나물도 아홉가지 나물에 속하기도 한다.

참고문헌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강인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