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현시 ()

조선시대사
제도
조선 성종 때, 현직 문무 관료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시(重試)의 하나.
제도/법령·제도
시행 시기
1482년(성종 13)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진현시는 1482년(성종 13) 10월에 특별히 실시한 중시의 명칭이다. 세조 대 발영시의 사례를 따라 시행되었으며, 문과에서 이승건(李承健) 등 4명, 무과에서 김수정(金守貞) 등 10명을 뽑았다. 특별히 치른 중시로 단 한 차례만 시행되었다.

정의
조선 성종 때, 현직 문무 관료를 대상으로 실시한 중시(重試)의 하나.
시험 내용과 선발 인원

진현시 문과는 1482년(성종 13) 10월 25일 창덕궁 인정전에서 열렸다. 성종이 자리한 가운데 윤필상(尹弼商) · 서거정(徐居正) · 임원준(任元濬) · 이파(李坡)독권관(讀卷官)으로 임명하고 책문(策問)을 출제하여 문신들을 시험하였다. 책문의 내용은 국방의 방책을 묻는 것이었다. 정원주서 이승건(李承健) 등 4명을 선발하였다.

같은 날 성종은 모화관(慕華館)에 행차하여 진현시(進賢試) 무과도 실시하였다. 시험 과목은 200보 달리기 · 강서(講書) · 기사(騎射) 등이었다. 이날 진암수(陳巖壽) 등 10명을 선발하였다. 이틀 후 후원(後苑)에서 편전(片箭)으로 다시 시험하여 사헌부감찰 김수정(金守貞)을 1등으로 선발하였다.

진현시를 시행할 때 종친인 풍성정(豐城正) 이강(李杠)이 응시를 희망하였지만 허용되지 않았다. 앞서 이강은 무과에 급제하였는데, 이때는 종친들의 과거 응시를 제한하였기 때문에 진현시의 응시도 허용하지 않았던 것이다. 진현시 선발 인원은 문과 4명, 무과 10명으로 세조 대 발영시의 문과 40명, 무과 43명, 등준시의 문과 12명, 무과 51명에 비하면 적은 편이다.

참고문헌

원전

『성종실록(成宗實錄)』
『중종실록(中宗實錄)』
『국조방목(國朝榜目)』

논문

김창현, 「조선초기 중시에 관한 연구 -문과 중시를 중심으로-」(『국사관논총』 80, 국사편찬위원회, 1998)
원창애, 「조선시대 문과 중시 급제자 연구」(『역사와실학』 39, 역사실학회, 2009)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