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월대사시집 ()

불교
문헌
조선 후기의 승려, 정훈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2년에 간행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의 승려, 정훈의 시가와 산문을 엮어 1832년에 간행한 시문집.
개설

저자는 1751년(영조 27)경상북도 의성에서 출생하였으며, 속성은 김씨(金氏), 자는 경호(敬昊), 호는 징월(澄月)이다. 가선총공(嘉善聰公)에게 득도하였고 관월(冠月)에게 구족계를 받았다.

31세 때 개당(開堂)하였으며, 1823년(순조 23)운부사(雲浮社)에서 세수 73세로 입적하였다. 특히 시로 이름이 알려져 당시 높은 벼슬아치나 명사들이 추종하지 않는 이가 없어 영남지방의 명승(名僧)으로 추앙되었다.

편찬/발간 경위

1832년 팔공산(八公山) 수도암(修道菴)에서 개간(開刊)하였다. 첫머리에 1829년 5월 희곡산인(希谷散人)이 쓴 서문이 있고, 끝에 1832년 이태승(李台升)과 김이덕(金履德)이 각각 쓴 발문이 있다.

서지적 사항

3권 1책. 목판본. 계명대학교 도서관에 있다.

내용

권1에 오언절구 9편, 오언사율(五言四律) 33편, 오언장편(五言長篇) 4편, 칠언절구 67편, 권2에 칠언율시 59편, 권3에 미타암중수기(彌陀菴重修記)·지장사중수기(地藏寺重修記)·진불암중수기(眞佛菴重修記)·수도암이건기(修道菴移建記) 등 기문 4편, 최상룡(崔象龍)·희곡산인 이문환(李文煥)이 지은 영찬(影贊) 3편, 문인 유혜(有惠)가 기록한 징월화상행장(澄月和尙行狀)이 수록되어 있다.

권2에 수록된 서강시축(西江詩軸)에는 그의 나이 70세 때 서울 서강에서 연천(淵泉)김이양(金履陽)·박옹(朴翁)·이명오(李明五)·석애(石崖)조만영(趙萬永)·운석(雲石)조인영(趙寅永)·황정(黃庭)이태승 등과 수창(酬唱)한 시가 실려 있어, 사대부와의 시적 교류가 얼마나 깊었는지 알 수 있다. 시는 소박하고 담담하면서도 승려만이 가질 수 있는 안목으로 선정(禪定)의 고요함과 선리(禪理)의 깨우침이 함축되어 있다.

참고문헌

「시(詩)로 만족했던 징월(澄月)」(이종찬, 『한국불가시문학사론』, 불광출판부, 199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