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권 1책(혹은 2권 1책). 수륙재문(水陸齋文) 중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을 추려 모은 의식집으로서 1721년(경종 1) 9월 삼각산(參角山)중흥사(重興寺)에서 개간(開刊)한 것과 1739년(영조 15) 6월 곡성(谷城)도림사(道林寺)에서 개간한 것이 있다.
앞의 것은 3권 1책이고, 뒤의 것은 2권 1책으로 편성되어 있는데, 그 내용은 대동소이하다. 수륙재란 수중과 육지에서 헤매고 있는 외로운 혼령들에게 법(法)과 음식을 베풀어 구제하는 의식으로서 중국 양(梁)나라 무제(武帝)에 의하여 시작되었다.
책의 첫머리에 명안(明眼)과 수연의 서문, 각단(壇)의 배설도(排設圖) 및 위의도(威儀圖)가 있고, 권상에 대령의(對靈儀)·분수작법절차(焚修作法節次) 등 39종을, 권중에 지반삼주야작법절차(志磐三晝夜作法節次)·삼일재전작법절차(三日齋前作法節次) 등 29종을, 권하에 초일풍백우사단작법(初日風白雨師壇作法)·당산천왕단작법(當山天王壇作法) 등 31종 도합 96종이 실려 있다.
서문에 의하면, 편자가 범학(梵學)이 그 참모습을 잃어가는 것을 염려하여 소례문(小禮文)·대례문(大禮文)·예수문(預修文)·지반문(志磐文)·자기문(仔夔文) 등 5종의 의식집 중에서 번잡한 것을 줄이고 빠진 것은 보태어 체계를 세우고 널리 자문을 얻어 편집하였다고 한다.
편자에 대해서는 자세히 알 수 없다. 『한국불교의례자료총서(韓國佛敎儀禮資料叢書)』 제3책에 영인 수록되어 있다.